최병철 현대차증권 대표이사 사장이 임기 2년 차를 맞아 수익 다각화에 더욱 힘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현대차증권 신용등급이 상향되면서 금융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은 물론 상장지수채권(ETN) 발행 등 신사업을 추진할 자격도 갖췄기 때문이다. 
 
현대차증권 리스크관리로 신용등급 올라, 최병철 수익다각화 탄력받아

최병철 현대차증권 대표이사 사장.


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현대차증권의 신용등급 상향 조정 배경에 최병철 사장의 철저한 위험관리가 꼽힌다. 

현대차증권은 16일 나이스신용평가로부터 장기신용등급 ‘AA-’와 등급전망 ‘안정적’을 부여받았는데 현대차증권의 신용등급이 높아진 핵심사유 가운데 하나로 꾸준한 리스크 관리가 꼽혔다.

최 사장은 30년 넘게 재무분야에 몸담고 현대자동차 재경본부장까지 역임해 그룹 내에서 ‘재무 전문가’로 평가받았다. 2020년 3월 현대차증권 대표이사에 오른 뒤 보수적 투자기조를 이어가며 위험관리에 힘을 쏟아왔다. 

지난해 12월에는 통합 리스크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전략리스크관리사업부를 신설하기도 했다.

현대차증권의 우발부채 규모는 2015년 3월 말 1조2천억 원에 이르렀으나 최 사장이 취임한 뒤인 지난해 말에는 6153억 원까지 줄어들었다. 자기자본 대비 우발부채 비중은 57.8%로 2020년 9월 기준 업계 평균인 64.7%를 밑돌고 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현대차증권의 보수적 위험관리기조 및 이익 창출력 등을 놓고 보면 앞으로 우수한 수준의 자본 적정성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평가했다.

자본시장에서는 보통 신용평가사 2곳이 같은 신용등급을 제시하면 회사채나 기업어음(CP) 등을 발행할 때 적용할 수 있는 유효한 신용등급으로 인정한다.

현대차증권은 지난해 12월 한국신용평가로부터 AA- 등급을 부여받았는데 이번에 나이스신용평가에서도 같은 등급을 받은 데 따라 유효 신용등급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

AA-로 신용등급이 높아지면 한 단계 낮은 A+와 비교했을 때 만기에 따라 0.2%포인트에서 0.47%포인트 정도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된다. 현대차증권이 앞으로 자금을 조달할 때 금융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는 뜻이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신용등급 한 단계의 차이가 지금 당장은 큰 효과가 없을 수도 있다”면서도 “2018년 1300억 원 규모의 후순위채를 발행하고 2019년에는 1천억 원가량의 전환상환우선주(RCPS)를 발행했는데 이런 상황에서는 신용등급 상향에 따른 조달금리 인하가 의미 있는 일이다”고 말했다.

현대차증권은 이번 신용등급 상향으로 상장지수채권(ETN)을 발행할 수 있는 자격도 충족하게 됐다.

증권사 가운데 자기자본이 1조 원 이상이며 신용등급은 AA- 이상,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이 200% 이상인 곳만 상장지수채권을 발행할 수 있다.

2020년 말 기준 현대차증권의 자본총계는 1조658억 원이다. 연결 순자본비율(NCR)은 507.5%로 상장지수채권 발행조건을 충족한다.

최 사장으로서는 상장지수채권시장에 진출할 길이 열린 만큼 신규사업을 통한 수익 다각화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최 사장은 대표이사에 오른 뒤 대체투자를 확대하고 해외주식 거래서비스를 새로 내놓는 등 신사업 발굴 및 사업 다각화를 추진해왔다.  

나이스신용평가는 “현대차증권은 수익구조 다변화를 바탕으로 수익성을 높였고 개선된 이익 창출능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있다”며 “수익구조 다변화와 탄력적 비용관리 등을 통해 우수한 영업수익성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현대차증권은 최 사장의 신사업 발굴 등 수익구조 다변화 노력에 힘입어 지난해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사상 최대치를 보였다.

2020년 현대차증권은 연결기준으로 영업이익 1174억 원, 순이익 843억 원을 냈는데 2019년과 비교해 영업이익은 19.3%, 순이익은 17.4% 증가했다. 

다만 상장지수채권을 발행하는 증권사는 국내에 미래에셋대우, NH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신한금융투자, 대신증권, KB증권 등 7곳뿐이다. 올해 하루 평균 상장지수채권 거래대금도 390억 원 수준으로 시장규모가 크지 않은 만큼 단기간에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박안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