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융권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5일 2021년 범금융 신년인사회를 대신해 내놓은 신년사에서 “올해는 금융권의 위기관리능력이 진정한 시험대에 서는 한 해가 될 수 있다”며 “모든 것을 재설정한다는 ‘그레이트 리셋(Great Reset)’의 비상한 각오가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이주열, 범금융권 신년사에서 "잠재 리스크 대응에 비상한 각오 필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이 총재는 일부 국가에서 백신이 보급되기 시작했지만 코로나19가 완전하게 통제되기까지는 불확실성이 큰 것으로 바라봤다.

코로나19 위기의 후유증으로 남겨진 부채문제와 자산시장으로 자금쏠림 등 해결해야 할 현안이 많은 것으로 진단했다.

장기적으로는 인구고령화 등 저성장의 구조적 요인들이 남아있고 코로나19로 산업별, 계층별 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가계와 기업에 지원을 이어가는 동시에 단계적으로 자원배분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봤다.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도 짚었다.

이 총재는 “정책당국과 금융권의 유동성 공급과 이자상환 유예조치 등으로 잠재돼 있던 리스크가 올해는 본격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부채 수준이 높고 금융과 실물 사이 괴리가 확대된 상황에서 자그마한 충격에도 시장이 크게 흔들릴 수 있어 금융시스템의 취약부문을 더욱 세심하게 살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범금융 신년인사회는 해마다 연초에 열렸지만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등을 고려해 취소됐다. 대신 이주열 총재를 비롯해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은성수 금융위원회 위원장, 윤석헌 금융감독원 원장 등의 신년사를 서면으로 금융인에 공유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