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경제부통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저출산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까지 196조 원을 투입하는 등 특단의 지원대책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15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인구 감소를 막고 변화의 물꼬를 터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준비했다”며 “저출산 대응 예산으로 2021년까지 36조 원, 2025년까지 196조 원을 담았다”고 말했다.
 
홍남기 "저출산 대응에 특단의 지원대책, 2025년까지 196조 투입"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그는 “이번 기본대책은 1~3차 기본대책과 다른 특단의 대책을 과감히 포함했다”고 덧붙였다.

출산부터 대학 진학까지의 단계별 대응대책을 보강한 것을 이번 기본대책의 가장 의미 있는 부분으로 꼽았다.

홍 부총리는 “아이 갖는 것을 주저하는 부부들의 출산 및 양육 부담을 경감하고자 출산, 영유아, 어린이집 보육, 육아휴직, 대학까지 단계별 지원대책 몇가지를 추가 보강한 데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출산 초기 보육부담 경감을 위해 60만 원 지원하던 출산 바우처를 2022년부터 모두 300만 원 규모의 ‘첫 만남 꾸러미’로 대폭 확대해 개편한다”고 말했다.

그는 “출산가정에서 경제적 부담 완화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원금액을 크게 확대했다”며 “지원액 가운데 200만 원은 사용처를 제한하지 않아 초기 육아에 필요한 물품들을 살 수 있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출산 이후 단계별 지원의 구체적 내용도 직접 설명했다.

홍 부총리는 “시설 이용 여부에 따라 분절됐던 0~1세 영아 지원체계를 ‘영아수당’으로 통합하고 2025년 50만 원을 목표로 단계적으로 지원을 확대한다”며 “국공립 어린이집을 매년 550곳 이상 확충해 2025년까지 아이 2명 가운데 1명은 공공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여건도 마련해 나간다”고 말했다.

그는 “육아 휴직급여를 전면 개편해 생후 12개월까지 부부 모두 휴직을 사용하면 2022년부터는 각각 최대 월 300만 원을 지급하고 육아휴직을 부여한 중소기업에는 최대 월 200만 원을 지원한다”며 “2022년부터 3자녀 이상 가구의 셋째 자녀부터 대학 등록금을 전액 지원하는 등 다자녀 가구 지원도 강화된다”고 덧붙였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