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내년에 달 탐사 준비작업에 200억 원을 투입한다.
미래부는 2018년까지 국내 기술로 달 탐사 위성을 개발해 쏘아 올린 뒤 2020년까지 달 표면에 국산 착륙선을 내리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
|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
미래부는 내년도 예산이 14조4174억 원으로 확정됐다고 3일 밝혔다. 올해보다 예산이 791억 원 늘었다.
미래부의 내년 예산 가운데 200억 원이 달 탐사 사업에 배정됐다. 이는 애초 미래부가 계획한 금액보다 100억 원 증가한 것이다.
미래부는 “한국이 최초로 시도하는 달 탐사를 위해 기존 위성 개발보다 고도화한 기술을 확보해야 한다는 취지가 국회 심의에서 인정됐다”고 설명했다.
달 탐사 사업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다. 박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이던 2012년 TV토론회에서 “2020년까지 국내 기술로 개발한 착륙선을 달에 착륙시키겠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달탐사 사업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맡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달에 착륙선을 보내기 위한 준비 작업으로 2018년까지 국산 인공위성을 달 궤도에 진입시키겠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달 탐사가 성공할 경우 한국은 미국과 러시아, 유럽연합(EU), 일본, 인도, 중국에 이어 세계 6번째로 달에 물체를 쏘아올린 나라로 기록된다.
인류의 달 탐사 사업은 1959년 소련이 쏘아올린 ‘루나2호’가 달표면과 충돌하면서 본격화됐다.
미국은 1969년 우주인 3명을 태운 아폴로 11호를 달에 보냈는데 선장인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 표면에 발자국을 남겼다. 암스트롱은 2012년 82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한국의 달 탐사 사업이 계획대로 추진될 지는 미지수다.
지구에서 약 38만km 떨어진 달에 물체를 쏘아 올리려면 로켓을 개발하는 것부터 시작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은데 시간이 촉박하다는 것이다.
미래부는 2016년 예산 가운데 가장 많은 6조5571억 원을 연구개발(R&D) 사업에 배정했다.
미래부는 내년도 예산 가운데 67억 원과 20억 원을 각각 ‘조선해양과 정보통신기술 융합’, ‘웨어러블 기기 부품 소재 개발’에 새롭게 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서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