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이 중소기업의 기술력과 잠재력을 고려해 옥석을 가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술력과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까지 재무건전성 악화를 이유로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돼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 |
||
▲ 한정화 중소기업청장이 26일 서울 명동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시중은행·정책금융기관장과의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
한 청장은 “기술개발에 힘을 쏟다보면 몇년 사이에 재무사정이 안 좋아지는 기업들이 있는데 이런 기업들은 우리가 키워야 할 자산”이라며 “중소기업 신용위험을 평가할 때 기술력과 사업성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판단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금융감독원이 11일 발표한 ‘2015년도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올해 구조조정 대상(C∼D등급)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은 모두 175곳으로 지난해보다 50곳 늘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512곳) 이후 가장 큰 규모다.
한 청장은 구조조정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성실 실패자’에 대한 시중은행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한 청장은 “정책금융기관은 주채무가 탕감되면 연대보증 채무도 감면해주는 ‘부종성의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며 “민간은행에서도 이를 적극적으로 검토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권선주 기업은행장과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겸 국민은행장, 조용병 신한은행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등 6개 시중은행장과 4개 정책금융기관 이사장이 참석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