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대전시에 따르면 허 시장은 디지털뉴딜 분야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지능형도시 구축에 필요한 조직개편과 사업 추진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정부의 뉴딜정책 방향은 경제 전반의 디지털혁신을 주도하는 '디지털뉴딜'과 친환경·저탄소경제를 추구하는 '그린뉴딜'으로 구분된다.
대전시는 우선 중소벤처기업부 공모사업에 선정된 ‘스타트업파크’를 충남대학교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인근에 앞당겨 조성하기로 했다. 창업 인재들의 창업활동을 촉진해 빠른 시일 안에 혁신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함으로서 지능형도시 전환에 앞서간다는 전략도 함께 세웠다.
허 시장은 13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제2차 한국판뉴딜 전략회의’에 우수 지자체 발표자로 나서 “스타트업들과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안전, 교통 등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도시로 구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국내 최초로 과학부시장제를 도입하고 대전형 연구개발(R&D) 전문기관을 설립하는 등 관련 행정체계 개편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출신인 김명수 정무부시장을 과학부시장으로 바꾸는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허 시장은 이전에도 경제과학국에서 과학산업국을 분리해 과학산업 육성을 위한 전담 조직체계를 구축하고 과학산업특별보좌관제를 도입하는 등 지능형 도시로 전환을 위한 디딤돌 마련에 힘써왔다.
허 시장은 “대전은 처음으로 과학부시장제를 도입하고 과학산업진흥원을 설립하는 등 과학에 기반한 행정서비스체계를 구축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인공지능 인재양성과 스타트업 지원 등 다양한 사업들을 펼치고 있으며 2022년에 대전에서 열릴 예정인 세계지방정부연합(UCLG)을 통해 대전의 성과를 세계로 확산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내다봤다.
대전시의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도시 조성' 계획은 문 대통령이 발표한 '지역뉴딜' 지원정책을 만나 더욱 힘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능형 도시 조성사업에 2025년까지 사업비 3176억 원이 투입된다.
대전시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지능형도시 조성을 역점 사업으로 두고 진행하는 유일한 지자체인 만큼 정부로부터 관련 사업비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허 시장은 대전시가 디지털뉴딜 핵심도시로 자리를 잡으면 인구 감소에 따른 시정 운영의 어려움을 완화하는 데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
대전시는 세종시 출범과 함께 많은 기관과 기업들을 세종시로 떠나보내며 인구 감소에 따른 경제 위축을 겪은 바 있다.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가 2019년에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8년 사이 대전시에서 세종시로 빠져나간 인구는 연평균 1만6천 명으로 모두 8만 명에 이른다.
허 시장은 대덕특구를 디지털뉴딜 핵심지역으로 만들어 디지털과 인공지능 관련 기업들이 모여들면 인구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대전시는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도시 조성을 포함한 디지털뉴딜 과제 51개, 그린뉴딜 40개, 안전망강화 9개 등 대전형 지역뉴딜 프로젝트 100대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예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