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고용시장 상황이 크게 나빠지고 있으며 고용충격이 노동시장에 영구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은 7일 ‘코로나19 노동시장 관련 3대 이슈와 대응방안’에서 코로나19시대 노동시장 3가지 이슈로 실업의 급증, 재택근무 확대, 자동화 촉진을 꼽았다.
▲ 한국은행 로고.
코로나19의 확산으로 경제활동이 제약되면서 세계적으로 고용시장 상황이 크게 나빠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4월 실업률은 8.4%로 3월보다 2.9%포인트 높아졌고 한국의 6월 실업률(4.3%)도 1999년 이후 6월 기준 최고 수준을 보였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영향으로 일자리를 잃은 실업자의 상당수가 영구적 실업자로 남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4월 미국 CPS(Current Population Survey) 조사결과에 따르면 실직자 가운데 78%가 ‘일시 해고 상태’라고 응답했지만 코로나19 실직자 가운데 31~56%는 영구적일 수 있다고 추정한 해외 연구결과도 나왔다.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에 따라 재택근무가 확대됐다.
3~4월 미국에서는 전체 취업자의 50%, 유럽에서는 37%가 재택근무에 참여했다. 한국에서도 여러 기업이 재택근무제를 시행했다.
잡코리아 설문결과 직장인 가운데 62.3%가 재택근무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한국은행은 재택근무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재택근무와 관련한 연구 가운데 대다수는 통근시간 및 비용 감소, 직업만족도 제고, 사업장 운영비용 감소 등 측면에서 생산성이 개선된다고 분석했다”면서도 “일부 연구는 근로자 사이 소통 부재, 근로자 집중력 저하 등에 따라 생산성이 낮아진다는 결과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코로나19 확진자 발생과 함께 전체 생산라인 가동이 중단되는 사례를 겪으면서 로봇 등을 활용한 자동화 투자를 서두르고 있다.
한국은행은 생산 자동화로 예상되는 문제로 숙련도가 낮은 근로자들의 임금 감소를 비롯한 일자리 양극화와 임금 불평등 가능성도 제기했다.
한국은행은 3가지 노동시장 이슈와 관련해 △실직의 장기화를 막기 위한 고용유지정책 △재택근무제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과 부문별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근무체계 도입 △숙련 근로자 양성 위한 교육체계 마련 등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