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창식 DB하이텍 대표이사가 부회장에 올랐다.
DB그룹 제조업의 대들보인 DB하이텍을 더욱 키워 그룹의 제조업 도약에 발판을 마련할지 주목된다.
13일 DB그룹 인사에서 최창식 대표는 사장에서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2012년 DB하이텍 대표이사를 맡아 DB그룹으로 돌아온 지 8년 만이다.
최 부회장의 승진은 DB하이텍 대표를 맡은 뒤 한때 채권단 매각대상이었던 회사를 알짜기업으로 돌려놓은 공로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DB하이텍 영업이익은 2012년 156억 원 적자에서 2019년 1813억 원 흑자로 크게 개선됐다. 주가도 상승하면서 같은 기간 시가총액은 4배 이상 증가했다.
더욱이 이번 인사는 1일
김남호 DB그룹 회장 취임 후 첫 인사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작지 않다.
최 부회장 외에 DB하이텍 출신인 구교형 DB그룹 경영기획본부장도 이번에 부회장으로 함께 승진했다.
김남호 회장체제에서 DB하이텍에 더욱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DB하이텍 매출은 2019년 기준 8074억 원으로 금융계열사가 중심이 된 DB그룹 전체 매출(21조 원)에 비하면 크지 않다.
그러나 비금융계열사만 놓고 보면 매출의 56%를 차지한다. 비금융 매출 2위인 DB메탈의 연간 매출도 DB하이텍의 절반에 미치지 못한다. 영업이익은 무려 89%를 차지하고 있어 비금융계열사 가운데 위상이 독보적이다.
김남호 회장 부친인 김준기 전 회장이 DB하이텍을 각별히 챙겼다는 점에서
김남호 회장체제에서 그룹 차원의 투자가 이뤄질 수 있다는 시선도 나온다.
DB하이텍은 최 부회장 취임 이후 한 차례도 신규 증설투자를 진행하지 않았다. 공정 효율화 등 보완투자를 통해 조금씩 생산능력을 늘려 왔을 뿐이다.
현재 DB하이텍의 공장 가동률은 100%에 가깝다. 이대로는 실적 성장에 한계가 존재할 수밖에 없다. 최 부회장이 DB하이텍을 DB그룹의 명실공히 주축 계열사로 키우려면 신규투자 결정이 불가피하다는 시각이 제기된다.
외부환경은 나쁘지 않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으로 중국이나 미국이 아닌 한국에 생산기지를 둔 DB하이텍의 글로벌 수주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여기에 정부는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를 열고 1천억 원 규모의 전용펀드를 운용하는 등 국내 시스템반도체 생태계 확대에 나서고 있다. 국내 시스템반도체 설계기업(팹리스)이 성장하면 자연히 이를 위탁생산(파운드리)하는 DB하이텍의 수주물량도 많아질 수 있다.
다만 아직까지 최 부회장은 신규투자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인다.
12인치 웨이퍼가 반도체산업의 대세가 되면서 DB하이텍의 주력인 8인치 반도체 장비는 이미 생산이 종료돼 신규라인을 구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12인치로 신규증설을 할 수 있지만 삼성전자, TSMC 등 글로벌 강자들과 직접 경쟁에 놓여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
최 부회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투자할 힘을 모으면서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올바른 시기가 오면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 부회장은 서울대 재료공학과를 나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부산업(현 DB메달) 기술개발실에 입사한 뒤 삼성전자로 옮겨 파운드리센터장을 맡았다가 2012년 DB하이텍 대표이사로 친정에 복귀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