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코로나19 사태를 새 시장 개척과 국가 위상 제고를 위한 K-방역 모델의 경제협력 심화를 위한 자산으로 적극 활용하겠다"며 “개발도상국은 보건·의료 인프라가 부족할 뿐 아니라 자본 유출, 공적개발원조(ODA) 감소 등으로 타격이 큰 만큼 채무상환 유예, 공적개발원조 제공 등 종합적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덧붙였다.
대외경제협력기금은 개발도상국에 자금을 협력하고 경제개발을 지원하는 등 우리나라의 국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위해 설립된 정부의 개발원조자금이다.
기획재정부는 15년 이상 증액이 없었던 수출입은행의 해외 현지법인 4개의 자본금을 1억4500만 달러에서 4억 달러로 약 3배 증액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우리나라 대외경제환경 악화 변수로 인적·물적자원의 국가 사이 이동 단절에 따른 수주 차질과 현지 공장 가동중단, 글로벌 가치사슬 약화, 자국 우선주의 경향을 꼽았다.
홍 부총리는 "세계교역이 급감해 수출 중심의 우리 경제에 큰 충격이 되고 있고 국제유가 대폭 하락, 글로벌 외국인 직접투자(FDI) 급감 등 대외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급증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에 따라 대규모 프로젝트의 발굴·기획·입찰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해외 인프라 수주 활성화방안을 5월 내에 마련하는 등 수출력을 견지하고 K방역 등 국제공조와 양자협력 강화, 포스트 코로나 대비 등에 중점을 두고 올해 대외경제정책을 보강해나가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기재부는 앞으로 3년 동안 신남방·신북방 공적개발원조 규모를 직전 3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70억 달러 수준으로 대폭 확대해 전략적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1월 수립한 2020 신북방 경협 추진전략에 따라 우즈베키스탄·러시아와의 세부 협력방안 협의를 본격화하고 5월6일 한국-우즈베키스탄 부총리 사이에 화상회의를 열고 우즈베키스탄 측에서 희망하는 50여개 투자사업을 포함한 협력 방안을 구체화하기로 했다.
러시아는 수교 30주년을 계기로 한국·러시아 공동브랜드 단위사업을 조속히 확정하고 한국·러시아 공동투자펀드도 연내 펀드 출범을 목표로 추진해 나가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종학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