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수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13일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외환시장 현황 및 시사점’에서 “코로나19 사태가 국내 외환시장에 추가로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것”이라고 바라봤다.
▲ 자본시장연구원 로고.
김 연구위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적극적 역외 달러화 유동성 확대, 한국의 대외 건전성 개선, 한국의 금융안전망 개선 등을 근거로 들었다.
김 연구위원은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역외 달러공급 속도와 역량이 빠르게 강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위기의 확산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미국 연방준비제도는 3월19일 한국을 포함해 9개 나라와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다.
3월31일에는 외국 중앙은행이 미국 국채를 담보로 달러를 조달할 수 있는 레포기구를 운영하기로 했다.
한국의 외환부문 거시건전성이 매우 건실하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됐다.
올해 2월 말 기준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4092억 달러로 집계됐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외환보유액은 2012억 달러였다.
총대외채무 대비 단기외채 비중은 2019년 말 기준 28.8%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47.2%보다 크게 낮아졌다.
김 연구위원은 “외화유동성 위기를 저지할 수 있는 한국의 글로벌 금융안전망도 크게 개선됐다”고 분석했다.
글로벌 금융안전망(Global Financial Safety Net)은 외화유동성이 부족할 때 활용할 수 있는 범세계적 차원의 유동성 지원체계다. 국제금융기구의 융자, 지역금융안전망, 국가 사이 통화스와프 등을 포함한다.
다만 코로나19 확산 여부에 따라 외환부문 불확실성도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만큼 외화자금 조달여건 악화를 유발할 수 있는 주요 대외부문 위험요인을 철저하게 경계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김 연구위원은 “2018년 이후 위기가 나타날 가능성이 크게 확대된 터키 및 아르헨티나와 더불어 최근 코로나19 사태 및 유가 급락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멕시코, 브라질 등 주요 신흥국의 위기 발생 가능성을 면밀하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글로벌 신용위험 확산 가능성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두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