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3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의에 참석해 관련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했다.
국내 경기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에서 회복되고 있고 미국의 금리인상 시기를 고려해 이런 결정을 내렸다.
중국 정부가 최근 사흘째 위안화 평가절하를 단행하면서 올해 안으로 기준금리가 인하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 국내경기 회복세 감안
한국은행은 13일 이주열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1.5%로 동결하기로 했다.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해 8월과 10월, 올해 3월과 6월 네 차례에 걸쳐 0.25%포인트씩 금리를 인하했다. 마지막 금리인하가 6월에 단행된 후 기준금리는 역대 최저 수준인 1.5%까지 떨어졌다.
한국은행은 국내 경기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여파에서 회복되고 있고 이미 단행한 금리인하 효과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해 금리를 동결한 것으로 풀이된다.
은행의 가계대출이 600조 원을 넘어서는 등 가계부채가 급증하고 있는 점과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인상이 임박한 점 역시 기준금리 동결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은 금융통화위원회 종료 후 통화정책방향 발표를 통해 “수출이 감소세를 지속했지만 메르스 사태의 충격 등으로 위축됐던 소비와 경제 주체의 심리는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국내외 경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국내 경제가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과 메르스 사태 회복으로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가계부채가 높은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고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기대와 중국 위안화 절하로 변동성이 높아진 점을 감안해 8월 기준금리를 1.50%로 동결했다"고 말했다.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집행해 경기부양에 나서고 있는 점도 금리동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1조8천억 원의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해 모두 22조 원을 국내 경기를 살리는 데 투자하고 있다.
◆ 올해 안에 추가인하 하나
이번에는 금리가 동결됐지만 올해 안으로 기준금리가 추가로 인하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중국이 사흘 연이어 위안화 평가절하를 단행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과 불안감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11일과 12일 위안화 가치를 각각 1.86%, 1.62% 내린데 이어 13일에도 1.1%인하를 단행했다.
김문일 유진투자선물 연구원은 “위안화 평가절하는 양적완화 확대에 나선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에 추가 금리인하 여부 등에 대한 논쟁이 커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국은행은 위안화 평가절하 부담도 있지만 미국의 금리인상에 여파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인상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보인다.
이 총재는 “환율은 시장에서 외환의 수급, 그 나라의 기초경제여건을 반영해 결정되는 것”이라며 “위안화 흐름은 더 지켜보겠으나 원화 환율의 변동폭과 변동속도의 쏠림현상이 과도한 점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유의깊게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인상에 본격적으로 나서면 달러화 강세로 원화 가치가 떨어져 자금이탈 증가 규모가 커질 수 있다.
이 총재는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국채 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 이에 따른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 압력 등이 예상된다”며 “가장 우려되는 것은 국제 자금 흐름으로 자금이 신흥국에서 선진국 쪽으로 유입되는 움직임을 예상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이 금리 인상을 시작하더라도 인상 속도가 상당히 완만할 것으로 예상되고 우리나라는 외환건전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신흥국과는 다를 것”이라며 “하지만 중국 경기 불안까지 겹쳐 금융불안이 현실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이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은 “미국 금리 인상과 글로벌 금융 환경, 세계 경제 상황 등을 점검하면서 글로벌 자금 흐름이 어떻게 움직일 지 예측하면서 차선책을 먼저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비즈니스포스트 백설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