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투자증권이 유상증자를 통해 자기자본 1조 원대 증권사로 거듭난다.
하이투자증권은 2175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유상증자가 예정대로 마무리되면 하이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2020년 1분기 안에 1조 원대로 늘어난다.
이번 유상증자는 상환전환우선주(RCPS)와 보통주를 함께 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환전환우선주는 제3자 배정방식으로 발행되며 1천억 원 규모다.
상환전환우선주는 약속한 시기가 되면 발행회사에서 상환을 받거나 발행회사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우선주를 말한다.
상환전환우선주 발행가액은 1600원이고 발행주식 수는 6250만 주다. 납입일은 2020년 1월17일이다.
하이투자증권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는 유동화전문회사인 점프업제일차가 인수한다.
점프업제일차는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한 뒤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상환전환우선주를 인수할 계획을 세워뒀다. 이 과정에서 DGB금융지주는 점프업제일차와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맺어 자산유동화증권의 신용을 보강하기로 했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하이투자증권의 차입구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보통주는 주주배정 방식으로 발행되며 1175억 원 규모로 이뤄진다.
보통주의 발행가액은 1175원이고 발행주식 수는 1억 주다. 2020년 2월18일부터 2월19일까지 청약을 진행하고 납입일은 2020년 2월24일이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하이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상향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존 핵심사업 강화와 신규 사업 확장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대형 종합투자금융사업자(IB)로 향하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현주 기자]
하이투자증권은 2175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3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 김경규 하이투자증권 대표이사 사장.
유상증자가 예정대로 마무리되면 하이투자증권의 자기자본은 2020년 1분기 안에 1조 원대로 늘어난다.
이번 유상증자는 상환전환우선주(RCPS)와 보통주를 함께 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상환전환우선주는 제3자 배정방식으로 발행되며 1천억 원 규모다.
상환전환우선주는 약속한 시기가 되면 발행회사에서 상환을 받거나 발행회사의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붙은 우선주를 말한다.
상환전환우선주 발행가액은 1600원이고 발행주식 수는 6250만 주다. 납입일은 2020년 1월17일이다.
하이투자증권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는 유동화전문회사인 점프업제일차가 인수한다.
점프업제일차는 자산유동화증권(ABS)을 발행한 뒤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조달해 상환전환우선주를 인수할 계획을 세워뒀다. 이 과정에서 DGB금융지주는 점프업제일차와 총수익스와프(TRS) 계약을 맺어 자산유동화증권의 신용을 보강하기로 했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하이투자증권의 차입구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이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보통주는 주주배정 방식으로 발행되며 1175억 원 규모로 이뤄진다.
보통주의 발행가액은 1175원이고 발행주식 수는 1억 주다. 2020년 2월18일부터 2월19일까지 청약을 진행하고 납입일은 2020년 2월24일이다.
하이투자증권 관계자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하이투자증권의 신용등급이 한 단계 상향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존 핵심사업 강화와 신규 사업 확장으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해 대형 종합투자금융사업자(IB)로 향하는 발판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현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