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는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등 13개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일부 대학에서 서열화된 고교체제를 일부 확인했다고 5일 발표했다. <교육부> |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합격률이 특수목적고와 자율형사립고(자사고), 일반고 순으로 서열화돼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교육부는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등 13개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일부 대학에서 고등학교 유형별 서열화를 확인했다고 5일 발표했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에서 건국대, 경희대, 고려대, 광운대, 동국대, 서강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춘천교대, 포항공대, 한국교원대, 홍익대 등 13개 대학으로부터 2016∼2019학년도의 입시 전형자료 202만여 건을 제출받아 합격자의 고교 유형과 경제적 여건, 평균 내신등급 등을 분석했다.
교육부는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와 합격자의 평균 내신등급을 분석한 결과 고교 서열화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에 조사결과에 따르면 출신학교별 학생부종합전형 합격률은 과학고·영재고(26.1%), 외고·국제고(13.9%), 자사고(10.2%), 일반고(9.1%) 순이었다.
반면 학생부종합전형 지원자의 평균내신등급은 일반고, 자사고, 외고·국제고, 과학고·영재고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자의 대학 진학실적이나 고교유형별 평균등급을 제공하는 등 특정 고교유형이 전형과정에서 우대받을 수 있는 정황도 나왔다.
조사대상 가운데 5개 대학은 각 고교의 교육여건과 대학 진학실적 등을 기재한 ‘고교프로파일’ 문건을 만들었다. 2개 대학은 지원자의 내신등급과 ‘출신고교 또는 동일유형 고교 내신등급’을 비교할 수 있는 자료도 만들었다.
하지만 출신학교별 가점 부여 등 고교프로파일을 활용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았다.
학생부종합전형의 평가요소인 자기소개서와 추천서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됐다.
자기소개서와 추천서에는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논문등재, 교외대회 수상경력 등을 기재할 수 없다.
하지만 7개 대학에서 자기소개서와 추천서에 기재 금지사항을 적은 지원자에게 감점 등 실질적 불이익을 주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학교생활기록부에 기재 금지사항을 적은 지원자에게 불이익을 준 대학은 조사대상 13개 대학 가운데 단 한 곳도 없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부종합전형이 지난 10년 동안 양적으로 확대돼 왔지만 질적으로 관리되지 못했다”며 “학생부종합전형이 국민들의 불신을 받는 데에 교육부의 책임이 크며 이번 기회에 반드시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우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