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생산비용을 낮추면서도 빛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을 높인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한국전력공사는 21일 세계 최고수준의 광전변환 효율을 내는 페로브스카이트 평판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광전변환 효율은 빛을 전기로 전환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세계적으로 지금까지 발표된 평판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20.1%가 가장 높았는데 한국전력전력연구원이 이번에 20.4%의 태양전지를 제작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1839년 러시아 우랄산맥에서 처음 발견된 광물로 이 광물을 활용한 태양전지 가운데 광전변환 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한국전력은 설명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400℃ 이하의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1천℃ 이상 고온에서 생산공정이 이뤄진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져 생산비용이 낮으면서도 빛을 전기로 바꾸는 광전변환 효율은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다소 높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반투명하고 가벼워 건물벽면, 발코니 등 건물외장에 건물일체형으로 쓸 수 있다.
한국전력전력연구원 관계자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앞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부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를 위해 효율 향상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
한국전력공사는 21일 세계 최고수준의 광전변환 효율을 내는 페로브스카이트 평판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 한국전력전력연구원이 개발한 페로브스카이트 평판형 태양전지. <한국전력공사>
광전변환 효율은 빛을 전기로 전환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세계적으로 지금까지 발표된 평판형 태양전지의 광전변환 효율은 20.1%가 가장 높았는데 한국전력전력연구원이 이번에 20.4%의 태양전지를 제작했다.
페로브스카이트는 1839년 러시아 우랄산맥에서 처음 발견된 광물로 이 광물을 활용한 태양전지 가운데 광전변환 효율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한국전력은 설명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400℃ 이하의 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1천℃ 이상 고온에서 생산공정이 이뤄진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낮은 온도에서 만들어져 생산비용이 낮으면서도 빛을 전기로 바꾸는 광전변환 효율은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다소 높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반투명하고 가벼워 건물벽면, 발코니 등 건물외장에 건물일체형으로 쓸 수 있다.
한국전력전력연구원 관계자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앞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에도 부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상용화를 위해 효율 향상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