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16일부터 사흘 동안 총파업을 예고했다.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서울지하철 1~8호선을 담당하고 있다.
▲ 김태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왼쪽)이 15일 서울교통공사에서 노사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
서울교통공사 노사는 15일 서울교통공사 본사에서 오후 3시부터 교섭을 진행하고 있는데 여기서 협상이 결렬되면 16~18일 총파업이 확정된다.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임금피크제 폐지를 비롯해 안전인력 충원, 4조2교대 근무 형태의 확정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는 정부·서울시와 협의가 필요한 문제라며 난색을 나타내고 있어 협상 타결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교통공사는 2016년 임금피크제를 도입했다. 지하철 노조 직원의 정년을 보장하면서 정년이 2년 남으면 월급 10%를 깎고 1년 남으면 20%로 삭감폭을 넓힌다. 이렇게 삭감한 임금을 통해 신규직원의 인건비를 충당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임금피크제 적용 직원은 매해 줄어드는 반면 신규채용 인원은 같은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재원이 부족해졌다고 보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임금피크제와 신규채용에 따른 인건비 부족분을 메우기 위해 직원 1만7천 명이 2018년 32억 원, 2019년 42억 원, 2020년 67억 원 규모의 임금을 내줘야 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는 임금피크제를 개편하려면 행정안전부와 논의해야 하는 만큼 노조의 요구에 당장 확답하기 힘들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파업에 관련된 노사합의를 먼저 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현장 역무인력을 조당 4명 이상으로 확충하면서 승무원에게 휴일을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현재는 서울지하철 1~8호선의 지하철역 277곳 가운데 95곳(34.3%)이 조별 근무인원 2명으로 운영되고 있다.
4조2교대 근무 형태도 지난 10여 년 동안 시범적으로 시행된 만큼 공식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노조는 요구하고 있다.
서울교통공사 인력 충원을 담당하는 서울시는 안전인력을 단기간에 충원하는 일은 힘들다고 바라보고 있다. 노조의 요구를 따라 인력을 확충하려면 1천여 명을 추가로 고용해야 한다.
서울교통공사는 노조의 총파업이 확정되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해 시민 불편을 최소한도로 줄일 방침을 세웠다.
서울교통공사 노조가 파업을 확정하면 서울지하철 1~4호선의 운행률은 평일 기준 66%, 휴일은 50% 정도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5~8호선 운행률은 평일 78%, 휴일 68%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