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춘 인천시장의 공약사업인 백령공항이 답보 상태를 벗어날 수 있게 됐다.
그동안 백령공항의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국방부가 활주로 활용방안 등 여러 부분에서 이견을 보여 사업이 진전되지 않았는데 최근 두 부처의 견해 차이가 순조롭게 해소되는 것으로 파악됐다.
29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백령공항에 관한 국토부와 국방부 사이 이견 조율이 긍정적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백령공항은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 백령도 진촌리 일대 25만4천㎡ 부지에 건설 예정된 1150억 원 규모 공항을 말한다. 50인승 소형 여객기가 운항하게 된다.
인천시와 백령도 주민들은 섬 접근성 개선, 관광산업 활성화 등 이점을 기대하며 백령공항 건설을 촉구해왔다. 국토부는 2017년 백령공항사업을 두고 사전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경제성이 충분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하지만 백령도가 북한과 가까워 자칫 항공기가 북한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점이 문제가 됐다. 실제로 백령도와 북한 황해남도 용연군 장산곶 사이 거리는 15km에 불과하다.
국방부와 국토부는 백령공항에서 월경을 방지하는 방안을 두고 의견이 엇갈렸는데 최근에는 의견 절충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백령공항 활주로는 항공기의 월경 위험을 줄이기 위해 동서 방향으로 건설될 것으로 예정됐다. 그런데 백령도 동쪽 역시 북방한계선(NLL)과 바짝 붙어 있어 월경 가능성이 제기됐다.
국방부는 항공기가 북방한계선을 넘지 않도록 활주로 서쪽만을 통해 운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국토부는 사업성 및 편의성을 고려해 양방향 운항이 필요하다는 태도를 보였다.
국토부 관계자는 “최근 선회비행을 통해 양방향 운항을 하면서도 월경 가능성을 낮추는 방안을 수립해 국방부와 의견을 조율했다”며 “현재 국방부에서 이 사안을 놓고 공군 의견을 수렴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백령공항 이착륙 방식을 ‘시계비행’과 ‘계기비행’ 가운데 무엇으로 정하는지에 관해서도 긍정적 논의가 이어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시계비행은 조종사가 이착륙 과정에서 눈으로 지형지물을 확인해 고도, 속도, 방향을 조절하는 방식을 말한다. 반면 계기비행은 항법장치를 사용해 이착륙하게 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처음에는 시계비행만 계획했다”면서 “하지만 국방부에서 안보를 고려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와 계기비행과 시계비행을 함께 검토한 안을 수립해 국방부에 전달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월경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계기비행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온 반면 국토부는 시계비행으로도 월경을 방지할 수 있다고 봤다.
계기비행 방식을 선택하면 백령공항에 항법장치 관련 시설을 구축해야 해 사업비가 추가로 400억 원 이상 투입될 것으로 추산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백령도 인근이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돼 항공기 운항이 어려웠던 문제도 올해 초 국방부의 양보로 해결됐다”며 “국토부와 국방부의 논의가 긍정적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백령공항을 둘러싼 논의가 진척되면서
박남춘 시장이 당초 계획했던 2020년 예비 타당성 조사 및 2026년 공항 완공 목표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아졌다.
백령공항과 연계한 박 시장의 지역 개발사업도 구체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시장은 백령공항이 개항하면 백령도·대청도·소청도·연평도·우도 등 그동안 육지와 접근성이 부족했던 서해 5도를 중심으로 관광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한국과 북한 관계가 개선되면 인천국제공항 등 기존 교통 인프라와 백령공항을 연계해 남북 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한다는 구상도 세웠다.
박 시장은 20일 국회에서 인천중심의 남북 평화경제 인프라를 설명하며 "백령공항과 인천공항, 남북평화도로(인천공항-개성) 등을 통한 남북 교류사업의 물류체계가 갖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