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가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자료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최기영 후보자는 2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소재·부품·장비의 국산화 가능성이 많이 있다”며 “연구가 순조롭게 진행돼 생산으로 연결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소재·부품·장비 분야가) 일본과 비교해서 2~3년 뒤쳐진 것으로 듣고 있다”며 “일부는 기술 격차가 작아 조금만 투자하면 상용화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 수출규제와 맞물려 전문연구요원 제도의 확대 필요성을 제기하기도 했다.
최 후보자는 “일본의 수출규제를 봐도 현재 전문연구요원 제도는 중요한 이슈”라며 “전문연구요원제도를 확대한다면 몰라도 줄이는 것에는 반대한다”고 말했다.
전문연구요원 제도는 자연계 석사학위를 받은 사람이 연구기관에서 연구개발(R&D) 업무에 종사하며 군 복무를 대체하는 제도로 1973년에 도입됐다.
인공지능(AI) 분야와 관련한 인력 양성을 두고 거시적 관점에서 대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최 후보자는 박선숙 바른미래당 의원이 인공지능과 관련된 기초연구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자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최 후보자는 “수학과 뇌과학이 없으면 인공지능 분야에서 획기적 성과가 나올 수 없다”고 말했다.
그는 “미래사회에서는 인공지능이 중요한데 우리의 미래는 밝지 않다”며 “중국이나 미국처럼 앞서가는 국가를 보면서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의 소프트웨어(SW) 교육과 연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탈원전정책과 관련해 원자력발전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에너지전환은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최 후보자는 “원전 기술은 중요하고 기술개발과 연구는 꾸준히 이어져야 하지만 한번 사고가 나면 큰 피해를 주기 때문에 이를 감안해 에너지 전환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