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I가 일본에서 수입하는 배터리 소재를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였지만 거래선 다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23일 “삼성SDI가 배터리에 사용하는 분리막 등 소재가 일본 수출규제 문제에 민감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일본 정부는 최근 한국에 수출하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소재 일부를 대상으로 수출규제를 도입했는데 배터리 소재 등 다른 품목까지 제재가 확대될 가능성이 떠오르고 있다.
삼성SDI와 같은 국내 배터리업체는 분리막과 양극화 물질, 전해액 첨가제, 파우치와 동박소재 등 다양한 소재를 일본에서 수입하고 있어 배터리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김 연구원은 삼성SDI가 핵심 소재 내재화와 거래선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어 대안이 마련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삼성SDI가 일본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분리막 소재는 SK이노베이션 등 한국 소재업체에서 사들일 수 있다.
배터리에 사용되는 음극재도 포스코케미칼과 같은 국내기업의 공급 비중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며 삼성SDI는 세라믹코팅 등 일부 기술을 내재화할 계획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전해액 역시 중국업체와 한국업체도 공급하고 있는 소재기 때문에 일본에서 수입이 어려워져도 대체가 가능하다.
하지만 김 연구원은 “배터리 소재의 국산화율은 여전히 낮은 편으로 분석된다”며 “일본 의존도가 높은 소재의 국산화와 거래선 다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