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기가 전자부품 생산에 사용되는 일부 소재를 일본에서 사들이고 있어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가 확대되면 영향권에 놓일 수도 있다.
하지만 삼성전기는 핵심 소재기술의 내재화와 국산화를 통해 악영향을 극복하며 국내에서 고객사 기반을 확대할 기회를 맞을 가능성이 높다.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원은 23일 “IT소재와 부품 국산화는 한국 전자업체들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반드시 이뤄야만 하는 과제”라며 “국가경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일본 정부가 최근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일부 소재를 한국에 수출하기 어렵도록 하는 규제를 도입한 데 이어 추가로 다른 품목에도 수출제한조치를 결정할 가능성이 떠오르고 있다.
전자부품 소재 일부를 일본에서 사들이는 삼성전기도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
삼성전기는 적층세라믹콘덴서(MLCC)에 사용되는 BT파우더와 페이스트 등 소재를 일본업체에서 사들이고 있어 소재 확보가 어려워지면 생산 차질을 겪게 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김 연구원은 “삼성전기는 그동안 적층세라믹콘덴서 핵심 소재의 내재화 비율을 끌어올리는 데 주력해왔다”며 “일본 소재 조달과 관련한 문제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김 연구원은 삼성전기가 일본에서 수입하는 BT파우더 소재를 원가 절감 차원에서 사들이고 있지만 이미 자체적으로 생산 기술력도 갖추고 있어 대체가 가능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페이스트 소재 역시 한국이나 중국 소재업체도 공급할 능력을 갖추고 있어 삼성전기에 대안이 확보돼 있다.
김 연구원은 오히려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차그룹 등 고객사가 일본 수출규제 사태를 계기로 일본에서 수입하던 적층세라믹콘덴서 물량을 줄이면서 삼성전기가 수혜를 볼 공산이 크다고 분석했다.
LG전자와 현대차그룹이 자동차 전장부품에 사용하는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는 무라타와 같은 일본기업의 공급비중이 높다.
삼성전기는 뒤늦게 전장용 적층세라믹콘덴서 생산 비중을 확대하면서 수요에 대응하려 하고 있지만 선두기업인 무라타를 상대하기 쉽지 않다.
이런 상황에서 전자업체들이 일본에서 사들이던 적층세라믹콘덴서를 국산화하려는 노력에 힘을 싣는다면 삼성전기가 가장 큰 수혜를 기대할 수 있다.
김 연구원은 “부품 국산화 의지가 확산될수록 삼성전기의 국내 고객사 기반 확대가 유리해진다”며 “고용량 스마트폰과 전장부품용 콘덴서 공급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