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 주주사들 사이에서 KT가 주도하는 케이뱅크 의사결정구조를 놓고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KT(10%)는 보통주 지분율로 우리은행(13.79%)에 이은 케이뱅크의 2대 주주다.
하지만 전환주를 포함한 지분율이 19.79%로 우리은행의 14.84%보다 높아 케이뱅크의 실질적 최대주주로서 케이뱅크 주주사들의 의사결정을 이끄는 역할을 맡고 있다.
KT가 케이뱅크 의사결정을 주도하는 구조이지만 최근 진행한 유상증자 과정에서 제 역할을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케이뱅크는 12일 412억 원을 목표로 했던 유상증자를 276억 원 규모로 마치는 데 그쳤다.
3대주주인 NH투자증권이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음에 따라 두 번이나 일정을 연기했음에도 목표액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KT를 제외한 케이뱅크의 주주사들은 KT가 이번 유상증자 전액을 책임지며 최대주주로서 책임감 있는 모습을 보이길 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뱅크가 대출을 중단하는 등 정상적 영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인이 KT의 공정거래법 위반 등으로 금융위원회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가 중단된 데 있는 만큼 최대한 성의를 보였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유상증자의 목표액인 412억 원은 케이뱅크의 남아있는 전환주 발행한도를 모두 채우는 규모로 KT가 케이뱅크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와 관련없이 투입할 수 있는 금액의 최대치이기도 했다.
하지만 KT는 이를 거부하고 KT, 우리은행, NH투자증권 등 3개 대주주가 유상증자 부담을 나누는 방안을 추진했다. 우리은행과 달리 NH투자증권은 이에 반발해 유상증자에서 발을 뺀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NH투자증권의 이번 유상증자 거부는 KT가 더 이상 케이뱅크 의사결정 주도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는 신호로 여겨진다.
NH투자증권은 케이뱅크의 적자에도 모든 유상증자에 참여해왔는데 처음으로 KT의 제안을 따르지 않은 것이다. NH투자증권이 사실상 KT에 반기를 들고 나선 것이어서 8개의 케이뱅크 주요 주주사들 가운데서도 앞으로 KT의 의사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을 회사들이 나올 수도 있다.
케이뱅크의 보통주 지분율에 따른 주요 주주사는 우리은행(13.79%), KT(10%), NH투자증권(10%), IMM프라이빗에쿼티(9.99%), 한화생명(7.32%), GS리테일(7.2%), KG이니시스(5.92%), 다날(5.92%) 등 8개로 나머지 13개 주주사는 1~2.5%가량의 지분을 들고 있다.
KT가 다른 주주사들의 불만을 잠재우지 못하면 KT 출신인 심 행장의 연임 논의에도 영향이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심 행장은 9월23일 임기만료를 앞두고 있으며 연임 논의는 이르면 8월 초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해진다.
케이뱅크 정관은 임원추천위원회가 추천한 후보를 이사회 표결과 주주총회를 거쳐 행장으로 선임하도록 하고 있다.
케이뱅크 이사회는 10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이 가운데 정운기(우리은행), 김대영(NH투자증권), 최승남(우리은행), 김준경(GS리테일), 이헌철(한화생명), 정한설(IMM프라이빗에쿼티), 최용현(NH투자증권) 등 7명의 이사가 출신 등을 감안했을 때 KT가 아닌 주요주주를 대변하는 이사로 분류된다.
이에 따르면 KT가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한 우리은행을 확실하게 포섭했다고 하더라도 심 행장의 연임을 장담할 수 없는 셈이다.
케이뱅크 주주사의 한 관계자는 “NH투자증권이 이번 유상증자에 참여하지 않은 것은 케이뱅크와 케이뱅크를 주도하고 있는 KT 모두를 신뢰하지 못하겠다는 뜻을 보인 것”이라며 “KT가 케이뱅크 의사결정의 주도권을 잃을 수도 있으며 심 행장의 연임 실패가 그 시작일 수 있다”고 바라봤다.
케이뱅크 지배구조 공시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2018년 말 기준으로 행장후보군으로 7명을 관리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감병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