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용인시 공세동에 들어설 예정이었던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건립이 주민 반대로 취소된 뒤 지역 이기주의로 데이터경제의 글로벌 경쟁에서 한국이 뒤처진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하지만 데이터센터가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지역 이기주의로만 볼 수 없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3일 정보통신업계에 따르면 용인시 네이버 데이터센터 건립 취소를 두고 지역 이기주의, 환경권, 지역상생 미흡 등 논란이 일고 있다.
네이버는 14일 용인시에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을 중단한다는 공문을 보냈다.
네이버는 애초 5400억 원을 투입해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일대에 13만2230m2 규모의 신규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용인시 건립계획이 취소된 뒤 데이터경제의 글로벌 경쟁에서 한국이 뒤처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5G 이동통신 도입, 자율주행자동 시행 등으로 급증할 데이터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한국 클라우드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외국 기업에 대항할 시기를 놓쳤다는 것이다.
한 인터넷카페에는 "여러 글로벌기업이 데이터센터 구축에 앞서 나가는데 국내 기업인 네이버가 주민들의 반대로 경쟁에서 발목을 잡혔다"는 글도 올라왔다.
데이터센터는 정보기술 기반의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시설로 최근 클라우드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구축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기업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이 치열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서울과 부산에 통신사의 데이터센터를 임대하고 있고 올해 부산에 대규모 자체 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계획을 세웠다.
아마존은 마이크로소프트와 마찬가지로 임대하는 방식으로 3개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했고 오라클과 구글도 국내 데이터센터 가동을 공식화했다.
데이터센터가 들어설 예정이었던 용인시 공세동 주민들은 전자파나 냉각수 증기 배출, 디젤 비상엔진의 매연 등으로 발생하는 건강문제를 반대 이유로 들었다.
이를 놓고 막연한 불안이 낳은 님비현상(지역에 특정 시설이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는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주민들이 주장하는 데이터센터의 위해성과 관련한 실증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데이터센터가 지역경제에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정보통신 업계의 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는 규모에 비해서 고용 창출 효과가 적다”며 “업무가 원격으로 이뤄지거나 자동화돼 상주하는 인원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네이버라는 대기업이 자리잡는 것만으로 홍보효과와 같은 간접효과를 노리기에는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효과가 적다는 것이다.
네이버가 지방자치단체와 상생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원태경 강원도의회 의원은 15일 “네이버가 춘천 데이터센터 준공 뒤 강당과 북카페를 시민들의 휴식공간과 회의실로 개방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국가 중요시설물이라는 이유로 일반인은 접근조차 할 수 없다”며 “데이터센터가 들어온 뒤 고용효과 등을 전혀 내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네이버 데이터센터는 지역상생은 외면한 채 그들만의 성이 돼버렸다”고 덧붙였다.
네이버는 2013년 강원도 춘천에서 첫 데이터센터 ‘각’ 운영을 시작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
하지만 데이터센터가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지역 이기주의로만 볼 수 없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 강원도 춘천시에 건립된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 전경. <연합뉴스>
23일 정보통신업계에 따르면 용인시 네이버 데이터센터 건립 취소를 두고 지역 이기주의, 환경권, 지역상생 미흡 등 논란이 일고 있다.
네이버는 14일 용인시에 데이터센터 건립 추진을 중단한다는 공문을 보냈다.
네이버는 애초 5400억 원을 투입해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 일대에 13만2230m2 규모의 신규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했다.
네이버 데이터센터의 용인시 건립계획이 취소된 뒤 데이터경제의 글로벌 경쟁에서 한국이 뒤처질 수 있다는 목소리가 높다.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5G 이동통신 도입, 자율주행자동 시행 등으로 급증할 데이터 수요에 적극 대응하고 한국 클라우드 시장의 80%를 차지하는 외국 기업에 대항할 시기를 놓쳤다는 것이다.
한 인터넷카페에는 "여러 글로벌기업이 데이터센터 구축에 앞서 나가는데 국내 기업인 네이버가 주민들의 반대로 경쟁에서 발목을 잡혔다"는 글도 올라왔다.
데이터센터는 정보기술 기반의 각종 데이터를 보관하는 시설로 최근 클라우드산업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구축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구글 아마존 등 글로벌기업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데이터센터 구축 경쟁이 치열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서울과 부산에 통신사의 데이터센터를 임대하고 있고 올해 부산에 대규모 자체 데이터센터를 건립할 계획을 세웠다.
아마존은 마이크로소프트와 마찬가지로 임대하는 방식으로 3개의 데이터센터를 구축했고 오라클과 구글도 국내 데이터센터 가동을 공식화했다.
데이터센터가 들어설 예정이었던 용인시 공세동 주민들은 전자파나 냉각수 증기 배출, 디젤 비상엔진의 매연 등으로 발생하는 건강문제를 반대 이유로 들었다.
이를 놓고 막연한 불안이 낳은 님비현상(지역에 특정 시설이 들어오는 것을 반대하는 현상)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주민들이 주장하는 데이터센터의 위해성과 관련한 실증적 근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데이터센터가 지역경제에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정보통신 업계의 한 관계자는 “데이터센터는 규모에 비해서 고용 창출 효과가 적다”며 “업무가 원격으로 이뤄지거나 자동화돼 상주하는 인원이 많지 않다”고 말했다.
네이버라는 대기업이 자리잡는 것만으로 홍보효과와 같은 간접효과를 노리기에는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효과가 적다는 것이다.
네이버가 지방자치단체와 상생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원태경 강원도의회 의원은 15일 “네이버가 춘천 데이터센터 준공 뒤 강당과 북카페를 시민들의 휴식공간과 회의실로 개방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국가 중요시설물이라는 이유로 일반인은 접근조차 할 수 없다”며 “데이터센터가 들어온 뒤 고용효과 등을 전혀 내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네이버 데이터센터는 지역상생은 외면한 채 그들만의 성이 돼버렸다”고 덧붙였다.
네이버는 2013년 강원도 춘천에서 첫 데이터센터 ‘각’ 운영을 시작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남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