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무 창원시장과 장세용 구미시장이 지역경제 살리기에 온 힘을 쏟고 있다.
두 사람은 지역의 첫 민주당 자치단체장으로 공약실천계획에서 최우수 평가를 받는 등 공통점을 지니고 있는데 경제 살리기에 성공할지 시선이 몰린다.
▲ 허성무 창원시장(왼쪽)과 장세용 구미시장. |
26일 허성무 시장과 장세용 시장은 제조업 위축으로 위기를 맞이한 창원시와 구미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허 시장은 최근 한국GM과 대우조선해양 등 대기업들이 휘청거리면서 직격탄을 맞고 있는 창원시 성산구를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은 지역경제 의존도가 높은 산업이 위기에 처하면 국가가 나서서 관련 기업, 종사자들을 지원하는 제도다.
창원시청 관계자는 “한국GM이 하반기에 창원 공장 생산라인 감축을 추진하고 있어 일자리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며 “대우조선해양 매각도 성산구 산업단지에 있는 협력업체들의 일감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으로 지정되면 근로자 생계안정·재취업 지원, 중소기업 경영안정 금융지원, 지역경제 활성화사업 등에 국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국가적 인프라 확충사업에서 유리하게 평가받는 혜택도 주어진다.
창원시청 관계자는 “5월부터 창원시, 경남도, 경남발전연구원이 협의해 창원시 성산구 산업위기대응특별지역 지정을 본격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에 사활을 걸었다. 특히 ‘광주형 일자리’를 벤치마킹한 ‘구미형 일자리’로 경제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기업들과 활발히 접촉하고 있다.
장 시장은 구미형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모바일, 2차전지, 자동차 전자장비, 가전제품 등 4개 분야 기업들을 다양하게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미시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주요 대기업들이 베트남을 비롯한 해외로 공장을 이전하면서 산업단지 일감이 감소하고 있어 구미형 일자리가 절실하다.
구미국가산업단지는 2014년부터 2019년 사이 고용 노동자가 1만 명이나 줄었다.
특히 중소기업들이 어려워졌다. 대기업 협력업체로 구성된 50인 미만 중소기업의 공장 가동률은 2019년 1월 기준 30.7%에 불과하다.
장 시장은 “구미형 일자리는 기업 자본금과 노동자 임금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야 하지만 함께 할 파트너가 어느 기업이 되느냐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실제로 구미시에 도움이 될 기업을 유치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창원시와 구미시는 경남도와 경북도의 제조업 중심지로서 한국 경제를 견인해왔지만 최근에는 한국수출입은행의 지점 및 출장소 철수를 간신히 모면하는 ‘굴욕’을 당할 정도로 지역경제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이처럼 경제위기를 맞이한 지역에서 지휘봉을 잡은 허 시장과 장 시장은 25일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 주관 민선 7기 기초단체장 공약실천계획 평가에서 나란히 가장 높은 등급인 ‘SA’등급을 받았다.
선거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실행 매뉴얼과 재정계획 등 구체적 실천방안을 마련했다는 의미다.
허 시장과 장 시장은 1995년 제1회 지방선거가 실시된 이후 각 지역에서 20여 년 만에 최초로 뽑힌 민주당 소속 지자체장으로서 지역민들의 기대감을 모았다.
민주당 불모지 창원시와 구미시에서 ‘경제 살리기’를 내세워 당선된 두 지자체장이 공약을 실현해 지역의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임한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