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중소형 올레드패널 생산공장에 중장기적으로 대규모 투자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중화권 패널업체도 투자 경쟁에 공격적으로 가세할 가능성이 높다.
▲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왼쪽)과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대표이사 부회장. |
어규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15일 "삼성디스플레이가 폴더블(접는) 패널의 대중화에 맞춰 중소형 올레드 패널에 대규모 생산투자를 벌여야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현재 삼성전자 접는 스마트폰 '갤럭시폴드'에 사용되는 폴더블 올레드 패널을 공급하고 있다.
현재 삼성디스플레이의 6.5세대 중소형 올레드 생산공장에서 만들 수 있는 스마트폰용 올레드 패널은 원판 1장 기준으로 120대 분량 정도로 추산된다.
하지만 폴더블 패널은 면적이 넓기 때문에 같은 원판 1장에서 63대 분량밖에 생산하지 못한다.
어 연구원은 "삼성디스플레이의 현재 중소형 올레드 생산능력으로는 폴더블 올레드패널을 기존 스마트폰 패널의 절반밖에 생산하지 못한다"며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바라봤다.
삼성전자가 접는 스마트폰을 주력 라인업으로 앞세우는 2021~2022년에는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패널 수요가 단기간에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어 연구원은 애플 아이폰에 삼성디스플레이의 폴더블 패널이 적용될 가능성도 높다고 바라봤다.
LG디스플레이 역시 중소형 올레드 패널 투자를 중장기적으로 지속할 것으로 전망됐다.
어 연구원은 "애플은 중소형 올레드패널을 삼성디스플레이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만큼 LG디스플레이의 투자가 간절한 상황"이라며 "최근 중소형 올레드 투자는 보수적이지만 올해 하반기부터 새 아이폰 출시에 맞춰 추가로 시설투자를 할 것"이라고 바라봤다.
하지만 중화권 패널업체도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중소형 올레드공장 투자에 막대한 자금을 들이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를 추격하고 있다.
어 연구원은 "BOE와 차이나스타, GVO 등 중국 패널업체가 3~4년 전부터 중소형 올레드 투자를 조금씩 진행해 왔다"며 "올해도 신규 투자가 계속 집행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중국 디스플레이업체는 아직 중소형 올레드패널을 유의미한 수준으로 양산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어 연구원은 중국 패널업체들이 정부 보조금을 확보하기 위해 일단 대규모 투자로 새 공장 외관을 지은 뒤 순차적으로 올레드패널 생산 장비를 들일 가능성이 높다고 바라봤다.
중화권 업체의 올레드패널 생산 장비 반입이 본격화된다면 생산 능력도 단기간에 급증할 공산이 크다.
어 연구원에 따르면 중국업체들은 2023년까지 최소 13개 공장에서 중소형 올레드패널의 양산을 시작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