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력공사가 장애인 의무고용에 소극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전력은 정규직 직원만 2만2720명에 이르는 대표적 공기업이다.
9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에 따르면 한국전력은 2017년 1574명을 정규직으로 채용했으나 장애인 고용은 15명에 불과했고 2018년 3분기까지 정규직으로 872명을 채용했는데 이 가운데 장애인은 10명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7조에 따라 2019년부터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 등의 장애인 의무고용 비율이 3.2%에서 3.4%로 상향 조정된 것과 배치되는 것이다.
한국전력의 정규직 신규채용인력 가운데 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 1.08%에서 2016년 1.06%, 2017년 0.95%로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를 보였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이용주 의원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한국전력의 장애인 고용부담금도 2015년 1370만 원, 2016년 2863만 원, 2017년 4억7180만 원으로 매년 증가했다.
장애인 고용부담금은 정부와 공공기관, 일정 규모 이상의 사업장을 운영하는 사용자에게 일정 비율 이상의 장애인을 고용하도록 하고 이를 이행하지 않으면 부과하는 부담금을 말한다.
한국전력 관계자는 “한국전력의 장애인 고용부담금이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매년 정규직 채용을 실시하면서 장애인 채용에서는 서류전형 등 매 전형별 가점을 부과해 장애인 채용에 노력하고 있음을 이해해 달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19년 장애인 채용계획을 묻는 말에는 “2019년 장애인 채용계획은 전체 정규직 채용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관계로 현재 말하기 어렵다”고 대답했다.
정치권에서도 장애인 의무고용과 관련해 공공기관이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오구한다.
이용주 민주평화당 의원은 “공공기관이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을 지키지 않는 것은 장애인을 향한 차별“이라며 ”공공기관이 나서서 장애인 의무고용이라는 사회적 책무 이행을 위해 적극적으로 동참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도 한국전력의 장애인 고용이 낮은 점을 비판한다.
권오인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팀장은 “최근 공공기관들이 정보통신기술(ICT)과 관련된 시설을 갖추고 있고 장애인들이 내근직과 같은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는 분야가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데도 불구하고 공공기관의 사회적 인식이 부족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권 팀장은 “공공기관은 공공적 성격이 있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하고 상생경영 측면에서도 장애인 고용이 강조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것 같다”고 안타까워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장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