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정보보호산업에 8500억 원을 투입해 시장을 확대하고 일자리 1만 개를 창출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열린 제2회 과학기술 관계장관회의에서 정보보호시장의 활성화를 지원하는 내용의 ‘민간부문 정보보호 종합계획 2019’를 심의해 의결했다.
▲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열린 제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과기정통부는 2019년~2022년 동안 예산 8500억 원을 지원해 국내 정보보호시장을 14조 원 규모로 확대하기로 했다. 2017년 9조5천억 원보다 50%가량 많다.
국내 정보보호산업과 관련된 일자리 1만 개를 새로 만들 계획도 세웠다. 관련 기술의 경쟁력도 미국과 중국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사이버 침해에 대응하는 체계를 고도화하는 방안을 우선 추진해 사이버 위협을 사전에 예측해 조기에 차단하는 능력을 키운다.
이를 위해 사물인터넷(IoT) 기기의 취약점을 점검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스마트공장, 디지털헬스케어, 자율주행차 등의 사이버 안전기준을 마련하고 지역이나 중소기업에서 이용하는 정보통신기술(ICT) 서비스의 보안 지원과 점검도 확대한다.
또 ‘소프트웨어(SW)사업 대가 산정 가이드’를 개정해 정보보호회사들이 제값을 받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장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스마트시티를 비롯한 5세대 이동통신(5G) 기반 서비스에서 우수한 보안모델을 개발하게 실증해 융합보안 수요를 새로 끌어내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와 함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 산하 조직인 ‘사이버보안 빅데이터 센터’를 통해 기업이 사이버보안 신제품을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이동통신 3사에서 출자한 펀드인 ‘코리아 IT펀드’에도 정보보호 분야를 신설해 관련 투자를 활성화한다. 국내 정보보호회사들의 해외진출 프로그램도 강화한다.
정보보호 법제를 네트워크 중심에서 사물인터넷기기를 비롯한 융합 분야도 포괄하도록 정비한다. 정보보호정책을 연구하는 범위도 기술 대응 위주에서 피해 구제로 넓힌다.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4차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를 보호하는 기술 연구개발(R&D)에 2019년 기준 619억 원을 지원한다. 인공지능 보안과 융합에 필요한 신규 보안 서비스 인력을 양성하는 방안도 2022년까지 진행된다.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세운 계획을 기초로 매해 종합계획을 세우겠다”며 “계획을 추진한 실적을 점검하고 개선사항을 찾기 위한 민관협의회도 매해 두 차례 열겠다”고 밝혔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