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이 3일 경상남도 창원시 창원국가산업단지 안 입주업체인 대건테크를 방문해 스마트공장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스마트공장을 육성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10일 정치권에 따르면 2019년 정부 예산안을 보면 스마트산업단지에 투입될 예산은 모두 4797억 원으로 2018년보다 142.8% 증가했다.
스마트산업단지 예산은 국회를 통과하면서 모든 항목이 정부안보다 증액됐다. 정부는 스마트산업단지 예산을 3868억 원으로 잡았지만 국회에서 모두 929억 원 증가해 4797억 원에 이르렀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는 스마트공장에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최근 창원국가산업단지 안 스마트공장을 둘러보며 “제조업이 4차산업혁명 시기를 슬기롭게 대처하려면 산업집적지인 산업단지 자체를 스마트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제조업이 활력을 되찾으려면 제조업의 거점인 산업단지가 4차산업혁명에 발맞춰 기술 혁신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 발표할 제조업 활력대책에도 스마트공장을 위한 정책이 중요한 부문으로 포함될 것”이라며 “스마트공장을 위한 고급 기술 연구·개발(R&D)과 인력 양성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마트공장 육성을 위해 산업부와 중기부는 부처의 성격에 맞게 정책적 분담과 협력을 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2019년 예산에서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스마트공장 보급 및 확산사업’ 예산이 2018년보다 338.3% 증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스마트팩토리정책을 추진하는 데 산업부는 기술 연구·개발과 석·박사급 인력 양성에 무게를 둔다면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보급 확대와 현장 실무를 담당할 기술인력 지원에 정책의 중심을 두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와 중기부가 스마트공장 확대에 협업하기로 하면서 민관 합동 스마트팩토리추진단도 산업부 소속에서 중기부 소속으로 옮기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중기부가 전국의 중소기업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하는 정책을 담당한 만큼 스마트팩토리추진단을 중기부 산하에 둬 스마트팩토리 현장 활용도를 높이겠다는 것이다. 대신 산업부는 고급 기술정책에 더 집중하게 된다.
스마트공장에서 국산 장비 비율이 아직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 만큼 스마트공장 설비를 국산화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조배숙 민주평화당 의원이 10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 스마트공장에서 주요 장비인 PLC(컨트롤러)와 센서는 각각 30%, 10%만 국산화했다.
PLC(컨트롤러)는 70%가 미쓰비시, 옴론 등 일본기업과 지멘스 등 독일기업에서 들여왔다. 스마트공장 센서도 90%가 옴론 제품이다.
조 의원은 “지금의 스마트공장 보급구조로는 스마트공장정책이 한국의 연관산업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외국기업에 이익이 집중될 수 있다”며 “산업부는 스마트공장 보급뿐만 아니라 기술력 강화와 부품 국산화에 정책적 집중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