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금융과 경제 안정을 높이기 위해 경제 전반의 복원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19일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이 ‘아시아태평양지역 채권시장의 구조, 참가자 및 가격 형성’을 주제로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연 공동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아태지역 채권시장의 발달은 금융시장 발전과 정책운용에 긍정적으로 기여했지만 부담도 동시에 초래했다”며 “대외 충격에 따른 자본 유출입 확대가 시스템 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제 전반의 복원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한국은행과 국제결제은행(BIS)이 개최한 ‘아시아태평양지역 채권시장의 구조, 참가자 및 가격 형성’ 공동 콘퍼런스에서 대외 충격에 따른 자본 유출입 확대가 시스템 위기로 이어지지 않도록 경제 전반의 복원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아태지역 국가들이 1990년대 말 외환위기를 경험한 뒤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금융시장 육성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 역내 채권시장 규모가 커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아태지역 채권시장의 발달은 금리 중심의 통화정책 운영체계가 정착하는 데 기여했다”며 “외국인 채권 투자가 늘면서 단기 은행 차입과 주식 투자에 의존하던 외자 유입 경로가 다양해졌다”고 말했다.
역내 채권 시장이 발달하면서 다른 어려움을 불러왔다고 봤다.
이 총재는 “역내 채권 가운데 외국인 투자자가 보유하는 비중이 높아지면서 채권 금리가 자국의 경제상황이나 통화정책 외에도 세계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게 됐다”며 “그동안 유입된 외국인 채권자금이 대규모 유출로 뒤바뀌면 금융시장과 외환시장의 불안이 확대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파악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상과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등으로 세계 여건이 변동해 일부 취약 신흥국의 금융시장이 실제로 타격을 받았다고 들었다.
이 총재는 아태지역의 금융·경제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경제 전반의 복원력 강화와 금융안전망 확충을 위한 국제 협력, 채권시장의 구조 강화 등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이 총재는 경제 복원력과 관련해 “경상수지 개선과 외화 보유액 확충, 환율 유연성 확대 등을 통해 대외 위기에 대응하는 능력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제 협력을 놓고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과 아시아 채권 시장 이니셔티브(ABMI), 아시아 채권기금(ABF) 등으로 역내 금융안전망 강화를 위해 노력했다”며 “앞으로는 국제통화기금(IMF), 국제결제은행 등 국제기구와 금융안전망 구축을 위해 꾸준히 협력을 확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채권시장의 구조와 관련해서 투자자의 다변화와 회사채 시장 활성화, 발행·유통제도 선진화 등 시장의 하부구조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바라봤다.
그는 “채권시장의 규모와 유동성을 확대해 역내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재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