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준영 기자 junyoung@businesspost.co.kr2018-11-18 07:00:00
확대축소
공유하기
보험회사들이 은행들과 복합점포를 내는 협업을 시도했지만 반응이 신통치 않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야심차게 추진했던 ‘보험복합점포’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가 올해초 규제를 완화하며 야심차게 추진했던 ‘보험복합점포’의 반응이 신통치 않다.
금융위원회는 올해 초 금융지주회사가 보험복합점포를 기존 3곳에서 5곳까지 늘릴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했지만 상반기 기준으로 신규로 늘어난 보험복합점포는 단 1곳도 없다.
오히려 KB생명보험과 신한생명은 원래 3곳이던 보험복합점포를 각각 1곳씩 줄였다.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등 주요 금융지주들이 은행과 증권회사들의 복합점포 수를 늘려가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금융당국이 여전히 적극적으로 먼저 고객에게 연락하는 ‘아웃바운드’ 영업행위를 금지하고 있는 점이 보험복합점포의 인기가 시들한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
보험회사의 전속 설계사들의 영업 범위를 침해하지 않기 위해 금융위는 보험복합점포에 상주하는 보험 관련 직원들의 아웃바운드 영업을 막았다.
보험권 관계자는 “은행들이 보험상품을 판매하는 방카슈랑스도 영업점 외에 모객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며 “적극적 영업 행위를 하기가 어려운 만큼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말했다.
젊은 고객들을 위주로 보험상품을 온라인이나 모바일에서 비교하는 추세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보험복합점포의 영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오프라인 영업점 방문횟수 자체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낮은 보험복합점포의 인지도를 끌어올리기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보험사들이 보험복합점포에서 고액 자산가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계획을 세웠지만 예상보다 수요가 많지 않다는 점 역시 실패 원인으로 꼽힌다.
보험권의 다른 관계자는 “종신보험을 통해 상속세 절감방안을 제시한다는 것이 보험복합점포의 주요 사업모델 가운데 하나였지만 부동산을 증여하면서 사전 증여 등을 통해 이미 절세할 수 있는 방안이 있다는 점을 간과했다”고 말했다.
고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고액 자산가들은 부동산 가치가 높지 않을 때 사전 증여를 하고 증여신고를 마치는 방식으로 상속세보다 세금을 절약하고 있다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과 증권사들은 계열사들끼리 연합전선을 바탕으로 상당히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지만 보험복합점포는 아직까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적극적 영업방식이 필요한 보험업 특성에도 맞지 않았고 온라인과 모바일 등 채널이 다양해진 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