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권에 따르면 2017년 3월에 출범한 ‘조용병 회장체제’가 1년 반여 년 만에 가장 큰 어려움을 맞이하고 있다.
조 회장이 채용비리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준비하고 있는 상황에서 검찰과거사위원회가 라응찬 전 신한금융지주 회장, 이백순 전 신한은행장과 함께 위 행장과 김 사장의 위증 혐의를 수사할 것을 권고하면서 그룹 차원에서 ‘CEO 리스크’가 확산되고 있다.
라 전 회장과 이 전 행장 측과 신상훈 전 신한금융지주 사장이 신한금융그룹의 경영권을 놓고 벌였던 분쟁인 ‘신한사태’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위 행장과 김 사장이 라 전 회장측에 유리하도록 조직적으로 거짓 진술을 했다는 것이 검찰과거사위원회의 판단이다.
그룹 권력 서열 1위인 조 회장과 2인자로 꼽히는 위 행장은 물론 지난해 2월 신한금융투자 대표이사에 오르며 ‘신한의 미래’라는 평가를 받는 김 사장까지 모두 법적 판단 앞에 서게 됐다.
또 검찰이 신한은행에 이어 신한카드, 신한생명, 신한캐피탈 등의 채용비리 의혹도 수사하기로 한 만큼 조 회장뿐 아니라 위 행장과 김 사장 역시 채용비리 의혹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세 사람 모두 임기 2년차를 맞이해 인수합병과 글로벌 진출, 투자금융 사업 등에서 각각 본격적으로 가시적 성과를 거두며 ‘1등 금융그룹’이라는 목표에 한걸음 다가서고 있는 상황에서 예기치 않는 장애물을 만났다.
조 회장이 채용비리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된 상황에서도 ‘하나의 신한(원신한)’을 강조하며 조직 분위기를 다잡고 있었지만 고위 임원들의 권력 다툼인 ‘신한사태’가 다시 수면 위로 오르면서 신한금융그룹 내부의 동요도 불가피할 수 있다.
‘신한사태’가 9년이 지난 지금 또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오면서 조직 안팎의 피로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채용비리 의혹에 이어 ‘조직적 위증’ 논란이 제기되면서 신한금융그룹을 바라보는 고객의 믿음이 흔들릴 수 있는 점도 뼈아픈 대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신한금융 관계자는 “오너가 있는 기업은 재판이나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경영전략에 큰 차질이 빚어지지만 신한금융그룹은 오너가 아닌 전문경영인이 경영활동을 펼치고 있고 이사회와 주주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도 함께 꾸려가고 있는 만큼 당장 큰 차질이 빚어지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최석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