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공사가 액화천연가스(LNG) 가격 하락에 늘어날 발전용 가스 수요를 잡기 위해 애쓰고 있다.
그동안 발전사들이 LNG를 직도입하는 추세가 늘어 가스공사의 독점적 지위가 떨어지고 있었지만 가스공사는 개별요금제를 통해 수요를 확보하면서 불확실한 실적을 방어해 나가고 있다.
유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24일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저유가시대가 본격화하면 발전용 가스 수요가 급증할 수 있다”고 바라봤다.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액화천연가스(LNG) 가격도 크게 하락하면 기존에 저렴했던 석탄 가격보다 LNG가격이 더 싸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가스공사의 전체 가스 판매사업은 2018년 기준 발전용(45.3%), 도시가스용(54.7%)로 구성된다.
올해 1월과 2월 발전용 가스 판매는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5.4%, 9.4% 증가했다.
특히 발전사들이 발전연료로 석탄 대신 LNG를 늘리면서 수요량이 커지고 있다. 올해 정부가 추진하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등 정책의 영향을 받아 석탄 수요는 더욱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재생에너지 발전비중을 2040년까지 최대 35%로 높이는 내용의 '제3차 에너지 기본계획'을 지난해 6월 확정해 지속해서 석탄발전을 줄이는 한편 LNG 비중을 늘리고 있다.
이에 더해 저유가시대가 본격화해 석탄보다 LNG의 연료비가 더 저렴해지는 역전현상이 나타나면 자연스럽게 발전용 가스 수요는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가스공사가 도입하고 있는 LNG는 2018년 기준 카타르(18%), 호주(16%), 오만(11%), 미국(10%) 등으로 구성돼 있다. 미국을 제외하면 LNG가격은 국제유가와 연동된다. 미국은 헨리허브 가격(미국 시장가격) 연동제를 이용한다.
유 연구원은 “국제유가 하락이 LNG 가격에 반영되는데 4~5개월이 걸리기 때문에 올해 8~9월부터 석탄과 LNG가격이 역전될 것으로 보인다”고 바라봤다.
가스공사로서는 LNG를 싸게 팔아야 하는 점은 다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지만 저유가 시대가 본격화하면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에 실적 개선을 꾀할 수 있다.
가스공사는 발전용 가스의 수요가 높아지는 상황에서 발전사들을 잡기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개별요금제를 통해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다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가스공사가 LNG 가격의 평균값을 계산하고 모든 발전소에 동일한 가격으로 판매하는 평균요금제를 적용해 왔다. 여러 나라에서 각기 다른 금액으로 LNG를 사들여 온 뒤 그 평균가격에 이윤을 붙여 최종 공급액을 정했다.
하지만 지난해 LNG 가격이 하락하면서 발전사들은 평균요금제를 통해 LNG를 사들이는 것보다 가스공사를 거치지 않고 직수입하면 더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1월3일 LNG 개별요금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개별요금제는 가스공사가 발전소마다 개별계약을 맺고 각각 다른 금액으로 LNG를 공급하는 제도다.
발전사가 LNG를 직수입하면 평균요금제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지만 직수입 물량은 국가차원에서 수급관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기 때문에 개별요금제를 도입해 어느정도 가격을 떨어뜨리면서도 통합적 수급을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찾은 것이다.
개별요금제 도입과 관련해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가스공사는 최근 내포그린에너지와 2022년 12월부터 연간 약 38만 톤의 LNG를 도입해 공급하는 개별요금제 계약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또 한국지역난방공사와 114MW규모의 양산 열병합발전소에 2022년 10월부터 연간 약 7만 톤의 LNG를 공급하기 위한 개별요금제 계약을 협의하고 있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그동안 직수입을 하기위해 계약에서 이탈하는 발전사들이 많았는데 개별요금제를 통해 이들을 다시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가스공사는 소규모 물량이어도 유가연동, 하이브리드(유가연동+헨리허브 연동) 등 여러가지 가스 계약조건을 제시해 수요를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
가스공사는 장기계약을 맺어놓은 미국산 LNG의 가격 경쟁력 악화나 유가 하락에 따른 해외자원 개발사업의 손실 등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발전용 LNG 수요 확보로 실적을 방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