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화웨이가 현지 반도체기업과 협력해 HBM 메모리를 자체 기술로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두고 있다. 그래픽은 화웨이 인공지능 반도체 홍보용 이미지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로고.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 |
[비즈니스포스트] 화웨이를 비롯한 중국 반도체기업들이 인공지능(AI) 반도체에 주로 쓰이는 HBM 메모리 상용화에 힘을 합치며 정부 지원을 받는다.
미국 규제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 주요 공급업체의 제품을 사들이기 쉽지 않은 만큼 자체 기술을 통해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서 자급체제를 구축하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26일 로이터와 디인포메이션 등 외신보도를 종합하면 화웨이와 푸젠진화 등 중국 주요 반도체기업이 지난해부터 HBM 메모리 생산을 위해 협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들 업체는 2026년까지 자체 기술로 HBM 메모리를 개발 및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두고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기업들이 상용화할 HBM 메모리는 화웨이의 인공지능 프로세서와 함께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화웨이가 현지에서 관련 기술 분야에 가장 앞서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HBM 메모리는 주로 엔비디아와 AMD 등 기업의 GPU(그래픽처리장치) 기반 인공지능 반도체에 쓰이는 고사양 메모리반도체다.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압도적인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마이크론도 기술 개발 및 생산 확대에 속도를 내며 한국 경쟁사를 추격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대중국 반도체 규제에 HBM 메모리를 직접 포함하지 않았다.
그러나 화웨이는 미국 정부의 기술 수출 블랙리스트에 올라 있어 미국의 기술이 일부 사용되는 HBM 메모리와 같은 제품을 구매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자국 반도체기업들과 힘을 합쳐 자체적으로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화웨이가 주도하는 연합은 HBM 메모리 생산라인을 2곳 이상 건설하며 각각 다른 제조사가 생산을 담당하도록 해 내부 경쟁 구도를 형성하겠다는 계획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보면 단기간에 HBM 메모리를 상용화하기 쉽지 않은 만큼 가능한 여러 방안을 시도해보려는 의도로 볼 수 있다.
화웨이 연합이 개발하는 HBM 메모리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 기업의 제품과 비교해 성능 및 수율이 크게 뒤처질 것으로 예상된다. 고사양 반도체 특성상 기술 장벽이 높기 때문이다.
다만 화웨이 등 중국 기업들이 미국의 규제를 극복하고 7나노 미세공정 파운드리 기술을 확보한 사례를 고려한다면 이는 충분히 다른 국가에서 우려할 만한 행보라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정부는 최근 중국에 엔비디아와 AMD 인공지능 반도체 수출을 추가로 규제하는 등 중국이 해당 분야에서 기술 발전을 이뤄내는 일을 적극 견제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김용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