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와 인천항만공사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의 여파로 크루즈산업 활성화를 추진하는 데 제동이 걸렸다.
13일 관광업계 관계자들의 말을 종합하면 정부가 코로나19 문제로 크루즈선의 국내 입항을 금지하면서 부산항만공사와 인천항만공사의 관련 사업 수행에도 빨간불이 켜졌다.
▲ 9일 부산항만공사가 관리하는 부산 영도구 부산항 국제크루즈터미널이 비어 있다. <연합뉴스> |
크루즈선은 좁은 공간에 사람들이 몰려있는 데다 공기도 밀폐돼 코로나19 전염이 쉬운 공간으로 꼽힌다.
일본에 정박한 크루즈선에서 대규모 확산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를 고려하면 정부가 크루즈선 입항을 언제 다시 허용할지는 명확하지 않다. 이 때문에 앞으로 부산항 또는 인천항에 들어올 예정이었던 크루즈선의 입항 여부도 불투명해졌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20년 상반기 기준 부산항은 62회, 인천항은 6회의 크루즈선 입항계획이 있다. 이 계획 가운데 2월 중순 일정은 이미 취소됐고 3~6월도 오리무중에 놓였다.
크루즈선 입항 금지가 장기화된다면 부산항만공사와 인천항만공사가 추진하는 크루즈선 유치와 ‘크루즈 모항화’ 등의 관련 사업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항만공사는 크루즈선이 많이 입항할수록 여객터미널 등 항만시설사용료와 도선·예선료 등 선박서비스요금, 선박 공급용품의 판매수익 등을 더욱 많이 거둘 수 있다.
항만공사와 연계된 지역경제 활성화도 뒷받침할 수 있다. 크루즈선 1척이 항만 근처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20억 원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된다.
아시아지역 크루즈시장 자체도 빠르게 커지고 있다. 세계크루즈선사협회에 따르면 아시아 노선에서 취항하는 크루즈선 수는 2013년부터 2017년 사이에 53% 증가했다.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의 여파가 점차 가시고 있는 것도 호재로 꼽혔다. 아시아 크루즈 수요의 대부분을 중국인 관광객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해 부산항만공사는 2019년에 대만 지룽항과 크루즈항로 확대를 논의하는 등 해외홍보와 항로 다변화에 힘써왔다. 8월 부산에서 개최 예정인 아시아 최대 크루즈축제 ‘잇츠더쉽코리아’ 유치에도 기여했다.
인천항만공사도 발로 뛰는 홍보를 통해 2020년 월드크루즈 20척의 기항 의사를 확보했다. ‘한한령’ 해제에 대비한 중국 마케팅도 지속해 왔다.
그러나 코로나19 사태가 터지면서 부산항만공사와 인천항만공사도 크루즈선 입항 금지는 물론 인도적 목적으로 들어오는 크루즈선 검역에도 신경을 더욱 써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코로나19 확산이 장기화되면 아시아 크루즈시장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 미국여행사협회에 따르면 크루즈여행 수요는 코로나19 발병 직전과 비교해 10~15% 정도 줄었다.
관광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급유 등 인도적 목적으로 들어오는 크루즈선 입항까지 금지해야 한다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이라며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때처럼 국내를 찾는 크루즈선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고 말했다.
2015년 메르스가 확산됐을 당시 부산항에 들어올 예정이었던 크루즈선 20여 척이 입항을 잇달아 취소했다. 인천항에 기항한 크루즈도 2014년 92척에서 2015년 53척으로 급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