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그동안 해외수출에만 집중됐던 스마트시티 지원정책을 국내로 본격 확대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그동안 성공사례가 없어 스마트시티 수출사업에 애를 먹었는데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시티 특화단지 개발에 참여하기 위한 이동통신사들의 경쟁도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 LH, 스마트시티 수출사업 탄력 받나
강호인 국토부 장관은 11일 정책간담회에서 “스마트시티 중장기 발전 로드맵'을 수립해 추진체계를 확고히 다지겠다”며 "관련 기업들이 사업경험을 쌓아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책을 강구하겠다"고 밝혔다.
|
|
|
▲ 박상우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CT)과 도시의 기반시설을 결합해 에너지, 교통, 안전 등 각종 서비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도시 개념이다.
LH는 국토부가 2015년 7월 스마트시티를 전략산업으로 선정하면서 한국형 스마트시티(K-Samrt City) 수출을 추진하고 있다. 이후 양해각서와 투자의향서는 여러 차례 체결했지만 실제 수출로 연결된 사례는 쿠웨이트 압둘라 신도시와 볼리비아 산타크루즈 신도시 등 2건 뿐이다.
국내 스마트시티 성공사례가 없는 상황에서 해외진출을 시도하다 보니 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회 입법조사처는 '스마트시티 현황과 발전방향' 보고서에서 “해외진출보다 국내 성공사례 확보에 정책 우선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국토부가 국내 지원을 확대하기로 한만큼 LH가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스마트시티를 완성하면 수출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해외진출 확대에 초점을 뒀다면 올해는 국내 도시에도 집중해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올해 상반기에 스마트도시법령을 정비하기로 했다. 스마트시티 조성은 데이터 축적이 관건인 만큼 도시정보의 연계를 촉진하는 근거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다.
기존에 있던 해외진출 수출추진단 역시 국내까지 총괄할 수 있도록 ‘스마트 추진단’으로 확대 개편한다. 단장은 국토부 1차관이 맡는다.
또 세종, 동탄2, 판교, 평택고덕 등 4개 신도시를 대상으로 스마트시티 특화단지를 구축하고 스마트시티 인증제를 도입해 내부적인 산업 생태계도 강화한다.
◆ 이통사들 사물인터넷 경쟁 돌입
국내 스마트시티 개발계획이 구체화되면서 개발에 참여하기 위한 이동통신사들의 물밑경쟁도 한층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과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모두 사물인터넷을 최우선 과제로 뽑았다.
|
|
|
▲ 박정호 SK텔레콤 사장(왼쪽)과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 |
스마트시티 구축에는 사물인터넷 통신망이 필수적이다. 도시 제반시설과 주거지, 교통 등을 아우르는 네트워크를 운영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대표적인 내수산업인 통신사업이 해외로 나갈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SK텔레콤이 현재 경쟁에서 한 발 앞서나가고 있지만 후발주자 LG유플러스의 추격도 만만치 않다.
SK텔레콤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국 사물인터넷 전용망을 구축해 스마트시티 협업에 공을 들여왔다. LH가 해외 신도시 수출모델로 추진하고 있는 ‘K스마트시티 3.0’의 핵심기술 역시 SK텔레콤의 스마트홈 플랫폼이다.
LG유플러스도 올해 상반기에 전국에 사물인터넷 통신망을 구축한다. 최근 경기 고양시와 스마트시티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다른 지자체와 외국 도시에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을 세웠다.
최근 LG유플러스와 KT는 사물인터넷 분야에서 SK텔레콤을 견제하기 위해 제휴를 맺기도 했다. 네트워크 투자는 각자 하지만 비용절감을 위해 핵심부품을 공동구매하는 등 사물인터넷 생태계 조성에 협력한다는 취지다.
권영수 LG유플러스 부회장은 6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17에서 "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등 산업용 사물인터넷에서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리서치앤드마켓은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가 2014년 4천억 달러에서 2019년 1조1천억 달러로 성장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다른 시장조사업체인 프로스트앤드설리번 역시 글로벌 스마트시티 숫자가 2025년까지 26개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고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