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상황에서 노사정위에 복귀할 수 없다.”
|
|
|
▲ 김동만 한국노총 새 위원장 |
한국노총 김동만(54) 새 위원장의 당선 일성은 강했다. 문국진 현 위원장은 '온건파'로 분류되는 반면 김 새 위원장은 '강경파'로 지목된다. 김 위원장 스스로도 "한국노총을 한국노총답게 만들겠다"고 굳이 부인하지 않는다.
한국노총에 강경 지도부가 등장함에 따라 앞으로 박근혜 정부와 노동계의 대립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은 철도파업 때 사무실에 경찰력이 투입된 것 때문에 박근혜 정부에 더욱 칼을 갈고 있다.
한국노총은 22일 제25대 위원장 선거에서 김동만 부위원장을 새 위원장으로 선출했다. 김 새 위원장은 사무총장 후보로 이병균(54) 부위원장과 짝을 이뤄 2차 투표 끝에 문 현 위원장을 눌렀다.
김 새 위원장은 당선 인사말에서 “한국노총을 한국노총답게 만들겠다”며 “공공부문 대정부 투쟁도 양대노총의 경계를 허물고 중심에 서서 열심히 싸우겠다"고 밝혔다. 정부와의 투쟁을 위해 민주노총과 연대의 폭을 넓힐 뜻을 내비친 것이다.
정부는 철도파업에 대한 강경 대응으로 벌어진 노동계와의 틈을 노사정위를 중심으로 풀려고 하고 있다.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은 "임금개편 등의 노동계 현안을 노사정위원회에서 다루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정부의 뜻대로 쉽게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 새 위원장은 "김대환 노사정위원장이 경찰의 민주노총 침탈을 정당하다고 발언하는 등 현재 상황에선 노사정위에 복귀할 수 없다"고 밝혔다. 또 정부의 공공기관 정상화 대책과 관련해서는 “정부가 노동계에 성의를 보이기 전까지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당선은 박근혜 정부의 강한 노동정책에 대한 한국노총 내부의 반작용으로 풀이된다. 통상임금 등 임금체계 개편을 비롯해 근로시간 단축, 시간제 일자리 등 정부와 다퉈야 할 노동현안이 산적한 만큼 좀더 강력한 후보가 지도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한국노총 내 분위기가 강하게 형성됐다. 특히 '철도민영화' 논란으로 촉발된 철도파업 등을 거치면서 파업 노동자에 대해 정부의 강경책에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주문도 넓었다. 정부의 공공부문 개혁에 대해 결과적으로 노동자의 처우를 위축시킬 것이라는 위기감도 강했다.
이런 상황에서 김 위원장은 강성이며 개혁적이라는 평가를 받았고 선거운동 과정에서 지지세를 넓혔다. 문 후보는 현역 위원장의 프리미엄을 앞세워 선거운동을 펼쳤으나, 상대적으로 온건하다는 평가를 받았고 결국 무릎을 끓게 됐다.
실제로 전국금융노련은 지난 8일 공개적으로 김 위원장 지지를 선언하면서 결의문에서 "박근혜 정부는 MB정권보다 더 폭압적인 노동운동 탄압과 노동조합 말살을 하고 있다"며 "문진국 위원장 체제 아래에서 한국노총 지도부는 속수무책으로 일관했다. 이제는 비굴했던 대정부 협조주의적 한국노총 역사를 청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금융노조 소속인 김 위원장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금융을 비롯해 금속 화학 등의 지지를 받았다.
김 위원장이 선거공약으로 공공부문 노정교섭 관철, 노조법 개정을 통한 타임오프 제도 전면 폐기,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확대, 통상임금확대 및 최저임금 현실화 등을 내건 것도 이런 한국노총 내 분위기를 취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위원장 선거에는 총 4명의 후보가 나섰다. 이날 치러진 1차 투표에서는 김 후보가 29.5%로 문 후보 36.1%에 뒤졌으나, 결선 투표에서는 54.5%을 얻어 44.0%에 그친 문 후보를 물리치고 당선됐다. 선거에는 전국 각 노조에서 2704명이 선거인단으로 등록하고 이 가운데 2560명(참가율 94.7%)이 투표를 했다.
김 위원장은 1978년 한일은행에 입사해 2000년 금융노조 노사대책본부장과 상임부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태환 열사 기념사업회 이사장, 전태열 열사 기념사업회 이사, 노사정위원회 상무이사 등을 역임했다. 2006년 금융노조 위원장을 맡았다. 2000년 금융노동자 총파업 및 국민, 주택은행 총파업과 관련해 1년 동안 옥살이도 했다.
김 위원장은 오는 29일 취임식을 열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