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건설업계가 힘을 모아 해외건설사업의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논의가 이뤄졌다. 정부와 건설사, 대형건설사와 소형건설사가 협력해 수주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방안이 집중적으로 검토됐다.
강훈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2일 국회 헌정기념관 대강당에서 해외건설 재도약 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
강 의원은 “지난해 해외건설 수주실적은 2006년 이후 가장 낮다”며 “해외건설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범정부 차원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손태홍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2020년 세계 건설시장이 12조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2018~2022년 세계 건설시장은 연평균 6.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계 건설시장이 성장세를 지속하는 가운에 우리나라 해외건설 업계는 쏠림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는 도급사업 중심으로 이뤄져 투자개발형사업 비중은 2006년 10.2%에서 2016년 3.1%로 감소했다.
손 연구위원은 또 상위 10개 건설기업의 해외 수주 비중이 80~90%를 차지한다며 “한국이라는 팀은 1군만 키우고 2군은 없는 구단”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과거의 강점이 더이상 강점으로 작용하지 않는 상황”이라며 시장 다변화와 투자개발형사업 전환, 설계 경쟁력 확보, 중견·중소기업 경쟁력 강화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수주전략을 단일기업 단독입찰에서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대형 프로젝트 입찰로 전환해야 한다고 바라봤다. 전략적 협력을 기반으로 수주경쟁력을 강화하고 수주전략의 다양성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건설기업에는 수주경쟁력의 근간인 기술경쟁력과 현지대응력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를 요구했다. 정부는 5년 단위 중장기 계획보다 2~3년 단위 단기 지원계획을 세우고 진출 상품·시장·형태·기업에 따라 차별화되는 지원 정책을 펼칠 것을 제안했다.
한승규 대림산업 해외토목투자사업팀장은 파키스탄 수력발전사업, 터키교량사업 등 민관합동투자사업(PPP)의 사례를 들면서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민관합동투자사업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범정부적 지원책을 마련하고 공기업의 투자 독려, 프로젝트 파이낸싱(PF)금융 지원 등 해외인프라 투자사업을 뒷받침해야 한다는 것이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