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주택 신규공급 조절에 나서면서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으로 주택시장으로 무게중심이 빠르게 옮겨갈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한 건설사들은 수혜가 예상된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대한민국은 이제 정비사업 천국이 되고 있다”며 “건설사들은 단순 도급건설사를 탈피해 구도심 중심의 정비사업 및 미래 주택수요에 맞는 서비스업으로 진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건설사, 주택 신규공급 조절로 재개발재건축 기회 잡아  
▲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정부가 2013년 내놓은 제2차 중장기 주택종합계획에 따르면 신규주택 수요는 연평균 39만 가구다. 여기에 필요한 신규택지는 57㎢로 정부는 이 가운데 30㎢를 공공택지로 충당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이번에 정부는 가계부채 관리방안의 일환으로 공공택지를 줄이는 방안을 선택했다. 올해 공공택지 공급량은 4.0㎢에 그친다. 이는 7만5천 가구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지난해 12만9천 가구 규모의 공공택지 공급에도 크게 미치지 못한다.

채 연구원은 이를 바탕으로 “연평균 수요를 39만 가구로 보면 32만 가구 이상의 구도심 재생사업과 면적이 매년 필요하다”고 파악했다.

2000년 이후 우리나라의 신규주택공급에서 재개발·재건축이 차지하는 비중은 18.7%다. 하지만 올해 재개발·재건축 비중은 22.9%로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올해 재개발·재건축 물량은 11만 가구로 사상 최대 수준이지만 여전히 32만 가구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결과적으로 도시정비사업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결론이 나온다. 정부는 재건축 연한 감축과 뉴스테이, 소규모 재정비 특례법 등으로 적극적인 정비사업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채 연구원은 “정부는 2013년부터 구도심 재생의 주택정책 방향을 일관적으로 준수하고 있다”며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접근으로 소규모재정비 특례법을 제정하는 등 구도심 활성화가 더욱 가속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채 연구원은 앞으로 주택공급시장의 80%를 차지하는 일반분양이 현저히 감소하고 정비사업 비중은 현재 18%에서 40%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비즈니스포스트 김디모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