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5월4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이임 기자간담회에서 소회를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임기를 마치는 소회로는 코로나19 수습이 기억에 남는다며 퇴임 이후 정치를 하지는 않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홍남기 부총리는 4일 오후에 열린 이임 기자간담회에서 “현재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이 50%인데 앞으로 더 오를 것”이라며 “국가채무의 절대 규모는 양호하지만 채무 비중이 올라가는 속도가 너무 빠르다”고 말했다.
반드시 재정준칙을 도입해야 하지만 현 정부가 제시한 산식 그대로 만들어지면 좋겠다는 의견도 내놨다.
문재인 정부는 2020년 말 ‘한국형 재정준칙’ 도입 방안을 담은 국가재정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개정안에는 2025년부터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을 60% 안으로, 통합재정수지는 GDP 대비 -3% 안으로 통제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러나 국회에서 개정안 처리는 큰 진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홍 부총리는 부동산 하향 안정 문제를 제대로 이루지 못한 부분에 관해서도 아쉬움을 표했다.
홍 부총리는 “부동산 시장이 하향 안정세로 가고 있는 것은 다행이지만 안정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한 것에 관해서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말했다.
다음 정부에서도 한국판 뉴딜 정책이 유지됐으면 하는 바람도 나타났다.
홍 부총리는 "미래를 대비하는 선도형 경제로 가기 위해 한국판 뉴딜의 이름은 바뀌더라도 정책 기조와 예산, 사업 등은 유지하는 게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기획재정부 출범 이후 역대 최장수 장관에 이름을 올렸다. 그는 “전대 미문의 코로나19 팬데믹을 수습해 온 것이 기억에 남는다”고 퇴임을 앞둔 소회를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이 자신의 사의를 수 차례 반려하며 큰 신뢰를 줬다며 고마움을 표시했다. 정책과 관련한 글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하는 등 국민과 소통한 부분에도 감사하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퇴임 뒤에는 정치권에 발을 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 동안 경제 영역에서 평생 공직을 수행했던 만큼 한국 경제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바가 있길 소망한다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2018년 12월11일에 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취임했으며 오는 9일 퇴임한다. 노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