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서귀포 신산리와 온평리 일대에 ‘제 2공항’ 건설이 추진된다.
국토교통부는 제주도의 늘어난 항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제 2공항을 건설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 제주 서귀포 성산읍 신산리 위치도. <국토교통부> |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9월 제주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 결과 제주공항이 2018년에 포화될 것이라는 결과를 받고 대응방안을 마련해 왔다.
제2공항 건설 입지로 낙점된 신산리는 기존 제주공항과 공중의 영역이 중첩되지 않아 비행 절차 수립에 큰 문제가 없고 기상조건이 좋으며 환경훼손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다는 게 장점으로 꼽혔다.
또 신산리는 인근 주민 수도 상대적으로 적어 소음에 따른 피해도 크지 않다.
국토부는 제2공항 건설에 약 4조1천억 원의 공사비가 들어갈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제2공항이 세워진 뒤 2개 공항이 항공기를 동시에 수용하면 항공기 운영횟수가 현재 시간당 34회에서 한 공항 당 38회씩 운영하게 돼 모두 76회로 늘어난다.
국토부가 발표한 활주로 배치 계획을 보면 활주로 1본, 3200m를 건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2공항의 수용인원은 연간 2500만 명이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연말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한 뒤 기본계획과 실시 설계를 시행해 2025년 이전에 제2공항을 열기로 했다.
제2공항은 국고지원의 기본원칙이 지켜지는 가운데 제주공항 운영주체인 한국공항공사가 자체재원을 조달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장윤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