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관계자는 “현재 기금이사추천위원회를 열기 위한 날짜를 조율하고 있다”며 “아직 언제 열릴지 구체적 일정은 잡히지 않았지만 재공모를 신속하게 추진한다는 데 변함은 없다”고 말했다.
국민연금이 기금운용본부장 선임을 위한 공모를 진행하려면 기금이사추천위원회를 통해 후보자 심사기준과 공모일정 등을 확정해야 한다.
기금운용본부장은 공모를 거쳐 김 이사장이 최종 후보자를 제청하면 보건복지부 장관이 이를 승인하는 방식으로 선임이 이뤄진다.
김 이사장은 1년 가까이 공석인 기금운용본부장의 선임이 시급한 만큼 서류와 면접 심사 등 공모 일정을 최대한 신속하게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투자업계에서는 김 이사장이 이번 재공모에서도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인물을 찾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바라보는 시각도 있다.
기금운용본부장은 과거 ‘자본시장의 대통령’이라고 불릴 정도로 높은 위상을 자랑했지만 국민연금이 최순실 국정농단에 연루된 뒤 ‘독이 든 성배’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위상이 크게 낮아졌다.
더군다나 1차 공모가 무산된 뒤에는 시장보다 낮은 연봉, 2년의 짧은 임기, 퇴임 뒤 3년 동안 유관기관(금융회사) 취업을 막는 재취업 제한, 본부 이전에 따른 지방근무 등 민간 금융회사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한 조건이 부각하면서 유능한 인재를 유인할 요인도 약화하고 있다.
국민연금이 7월 기관투자자의 주주권을 강화하는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을 준비하는 점도 새로운 기금운용본부장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국민연금은 아직 스튜어드십코드를 도입하지 않았지만 올해에만 정치권 등으로부터 삼성증권 사태, 대한항공 사태,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변경, 포스코 회장 선임 등 굵직한 기업 현안에 개입하라는 압박을 받았다.
국민연금이 국내 주요 기업들의 지분을 대부분 5% 이상 들고 있는 만큼 스튜어드십코드를 도입하면 이런 요구가 늘어날 수 있다. 기금운용본부장이 기업 현안을 놓고 정치적 논란에 휘말려 책임질 상황에 놓일 가능성도 그만큼 커지게 된다.
국민연금이 2월 진행한 1차 공모에는 모두 16명이 지원했지만 김 이사장은 적격자를 찾지 못했다.
김 이사장은 5월 말 인사검증이 지연되고 있다는 기자들의 질문에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검증을 진행하고 있다”며 국민의 눈높이를 강조했다.
애초 인력풀이 넓지 않은 국내 투자운용업계에서 1차 공모에 지원했던 이들을 배제하면 후보군은 더욱 좁아질 수밖에 없다.
국민연금이 재공모를 결정한 만큼 이미 유력 후보자를 낙점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국민연금이 이번 공모에서 또다시 적합한 인사를 찾지 못하면 김 이사장은 기금운용본부장 공백 사태가 그만큼 더 길어지는 것을 넘어 취임 뒤 1년 동안 기금운용본부장을 선임하지 못했다는 비판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일각에서는 조인식 기금운용본부장 직무대리가 승진할 가능성도 조심스레 나온다.
조 직무대리를 기금운용본부장에 앉히는 것이 외부에서 무리하게 인사를 찾는 것보다 조직의 안정성과 업무 연속성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조 직무대리는 2017년 7월부터 11개월째 직무대리로 기금운용본부를 이끌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한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