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가 국토교통부의 자율주행차 육성정책에 힘입어 스마트 고속도로 구축을 위한 기반 마련에 분주하다.
8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7일부터 8일까지 이틀 동안 코엑스에서 국토교통부 주최로 열리는 ‘2018 국토교통 기술대전’에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들도 대거 참석했다.
국토교통 기술대전은 자율주행차와 철도·교통 인프라 등 국토교통 관련 최신 기술을 집대성해 전시하는 행사로 민간 기술을 상용화하는 기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마련됐다.
스마트 고속도로는 통신 기술과 보안 기술, 솔루션 등 여러 미래 기술을 총망라해야 하는 사업인 만큼 혁신 미래 기술을 발굴하는 민간기업의 참여가 중요하다.
한국도로공사는 스마트 고속도로 건설에 ‘기술마켓’ 제도를 도입하는 등 민간기업 기술의 참여를 이끌어내려는 행보를 보여 왔다.
기술마켓은 중소기업이 보유한 신기술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인데 이번 행사를 통해 여러 첨단 기술을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국가 기간망을 중심으로 자율협력주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을 내놓고 한국도로공사에 관련 사업계획 수립과 추진을 맡겼다.
이에 따라 한국도로공사는 수도권과 부산권, 대구권, 대전권, 광주권, 강원권 등 6대 광역별 고속도로 지능화 시스템을 구축해 장기적으로 6개 권역 시스템을 연계, 전국 종합 시스템으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강래 한국도로공사 사장도 ‘사람 중심의 스마트 고속도로 수립’을 목표로 두고 간부 토론회를 여는 등 스마트 고속도로 구현에 힘을 기울여왔다.
국토교통부의 국토·교통 신산업 생태계의 핵심인 자율주행차가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전국에 스마트 고속도로가 구축돼 있어야 한다.
스마트 고속도로는 자율주행차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필수적으로 마련돼야 하는 인프라 가운데 하나다.
미국 자동차공학회(SAE)는 자율주행차를 △속도 또는 방향 자동제어 △정해진 구역에서 속도와 방향 제어 가능 △정해진 구역에서 자율주행 가능, 운전자 개입 필요 △정해진 구역에서 운전자 개입 불필요 △모든 상황에서 운전자 개입 불필요 등 모두 5단계로 구분했다.
국토교통부는 2020년까지 정해진 구역에서 자율주행이 가능하지만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한 3단계 자율주행차 상용화를 목표로 두고 있는데 3단계에서 말하는 정해진 구역은 자율주행차가 달릴 수 있는 스마트 고속도로를 뜻한다.
자율주행차가 일반 고속도로에서 운행되면 안전성을 담보하기 힘들다.
2016년 6월 테슬라의 자율주행차 모델S는 자율주행 기능으로 달리다가 맞은편에서 달려오던 흰색 대형 트레일러의 옆면을 하늘색으로 인지하면서 첫 사망사고를 냈다.
이처럼 차량 자동화에만 의존하는 독립형 자율주행차는 인지 범위가 시·공간적으로 제한되기 때문에 안전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하고 그 역할을 스마트 고속도로가 담당하게 된다.
한국도로공사는 2018년 4월 기준으로 고속도로를 통과하는 전송국사 469개소에 광케이블 4150km를 설치하고 초고속광통신망을 연결했다. 전송국사는 유선 광케이블을 이용해 대용량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다른 지역의 데이터 신호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초고속광통신망은 고속도로교통관리시스템(FTMS)을 중심으로 도로를 운행 중인 차량과 차량, 차량과 도로, 차량과 교통센터에 실시간으로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앞으로 스마트 고속도로가 전국에 정착하면 C-ITS를 기반으로 인공지능(AI)이 도로 운영시스템을 통제해 자율주행차가 교통사고 없이 도로를 원활히 달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다. [비즈니스포스트 조예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