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이 중국사업부에서 부품회사 대금지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쓰고 있지만 쉽지 않다고 안타까워했다.
정 사장은 31일 오전에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단 간담회에서 “(중국에서 부품회사) 대금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국사업부가 베이징기차와 계속 논의하고 있다”며 “다 같은 마음으로 (중국문제가) 해결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
||
▲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
베이징현대는 밀린 대금을 지급하지 않았지만 베이징잉루이제와 협의해 현지공장을 다시 가동할 수 있었다.
베이징현대는 현대차와 베이징기차의 5 대 5 합자법인으로 현대차가 생산판매를, 베이징기차가 재무를 담당하면서 밀린 대금을 지급하기 위해서는 베이징기차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베이징기차는 베이징현대의 실적악화를 이유로 현대차에 부품단가를 20% 이상 깎을 것을 요구했지만 현대차가 거부하자 베이징기차는 항의차원에서 대금지급을 승인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기차가 베이징현대로 하여금 한국 부품회사 대신 중국 부품회사 거래를 트게 하려는 속셈을 보이고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 사장은 “우리가 할 수 있는 게 없지 않느냐”며 “중국에서 협력 부품회사에 20~30% 단가인하 요구는 과하다. 그렇게 되면 현대차를 따라간 150개 이상의 협력 부품회사들이 다 망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아차는 31일 통상임금 1심 소송에서 사실상 패소하면서 판결금액 4223억 원을 포함해 1조 원 안팎의 비용부담을 지게될 것으로 보인다.
정 사장은 “(통상임금은)전체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사안인 만큼 잘 해결돼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임수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