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모바일헬스케어사업을 확대하기로 하면서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한 공공의료시장이 빠르게 커질 것으로 보인다.
삼성그룹과 KT 등 헬스케어사업을 새 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있는 곳들이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된다.
2일 정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모바일헬스케어사업을 시범운영하는 보건소를 5월부터 기존 전국 10개소에서 35개소로 늘린다는 계획을 세우고 1월25일부터 공모를 받고 있다.
|
|
|
▲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9월부터 서울 중구와 송파구 등 전국 10개 보건소를 통해 만성질환 위험요인이 있는 이용자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을 통해 보건소의 건강관리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시범적으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를 확대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서비스를 도입한 뒤 이용자를 대상으로 건강검사와 면담을 각각 실시한 결과 건강관리 효과와 이용자의 만족도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는 올해까지 시범사업을 운영한 뒤 내년부터 본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워뒀다.
이번에 보건소 25개소에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 추가로 배정된 예산이 22억 원에 불과할 정도로 아직 사업규모는 작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일단 앱과 관리시스템을 운영하는 데 집중하고 있고 관련 장비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며 “본사업이 시작되면 활동량계(일상생활에서 운동량과 소비된 칼로리 등을 측정하는 웨어러블기기) 등을 입찰을 통해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보건복지부 등 정부부처에서 의료서비스를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어 공공의료시장이 급성장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2일 발간한 ‘신개념 의료기기 전망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한 의료기기시장의 규모는 2010년 1조7천억 원에서 2014년 3조 원으로 커졌다. 규모가 앞으로 연평균 12.5%씩 커져 2020년에 14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식약처는 보고서에서 “국내에 세계 최고 수준의 네트워크 인프라가 구축돼 있고 관련 기술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통신기술기반 의료기기시장이 활성화하기 적합한 환경을 갖췄다”고 파악했다.
정부는 의료서비스를 소프트웨어와 콘텐츠 등과 함께 7대 유망서비스산업으로 지정하고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서비스업 연구개발을 돕기 위해 2021년까지 모두 4조6500억여 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1일 내놓으면서 보건소를 통한 모바일헬스케어사업을 신기술과 서비스가 결합된 좋은 사례로 꼽았다.
|
|
|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왼쪽)과 황창규 KT 회장. |
공공의료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 삼성그룹과 KT가 헬스케어사업에서 힘을 얻을 수 있다.
삼성그룹은 2010년 바이오 및 헬스케어사업을 5대 신수종사업 가운데 하나로 지목한 뒤 육성하고 있다. 삼성그룹은 삼성전자의 기술력에 더해 종합병원과 의료기기 전문회사인 삼성메디슨, 바이오 계열사인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조직에서 헬스케어 관련사업을 펼치고 있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다.
황창규 KT 회장은 2014년 취임한 뒤 5대 미래 성장동력 가운데 하나로 헬스케어사업을 꼽았는데 최근 연임이 사실상 확정된 만큼 앞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데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KT는 차세대 정보통신기술의 핵심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사물인터넷에서 망과 기술을 동시에 보유했기 때문에 헬스케어사업을 키우는 데도 유리할 수 있다.
지난해부터 사물인터넷(IoT)이 적용된 헬스케어 웨어러블기기인 ‘네오핏’ 등 관련 제품을 여럿 내놓는 한편 국내외 의료기관과 손잡으며 의료서비스로도 사업영역을 넓히고 있다. [비즈니스포스트 이헌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