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LIG넥스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유·무인 복합체계 대상 신속 인지와 맞춤형 대응을 위한 복합지능을 갖춘 AI 분석모델 자동협업 기술 개발’사업에 참여한다고 14일 밝혔다.
회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의 연구기관과, 모비젠, 코난테크놀로지 등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사업일정에 따라 오는 2028년까지 연구개발비로 59억 원을 투입해 기술 개발·실증을 수행한다.
AI 자동협업 기술은 전장에서 상황 분석·대응을 다수의 인공지능 모델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무인 체계에 탑재된 AI 간 일종의 ‘집단지성’을 구현하는 개념이다.
회사는 AI 자동협업 기술개발을 통해 급변하는 전장 환경에서 즉각 대응능력과 작전 효율성을 높여 종합적 임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로 했다.
아울러 개발 과정에서 지능형 지휘통제 체계를 위한 지능형 상황인지, 에이전틱 AI(Agentic AI, 목표 달성을 위해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조치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원천기술을 확보키로 했다.
실증까지 마친 AI 자동협업 기술은 국방 AI 인프라로 구현된다. 또 AI 자동협업 솔루션을 필요하는 민간기업과도 협업할 예정이다. 신재희 기자
회사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전자기술연구원 등의 연구기관과, 모비젠, 코난테크놀로지 등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 LIG넥스원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유·무인 복합체계 대상 신속 인지와 맞춤형 대응을 위한 복합지능을 갖춘 AI 분석모델 자동협업 기술 개발’사업에 참여한다.
사업일정에 따라 오는 2028년까지 연구개발비로 59억 원을 투입해 기술 개발·실증을 수행한다.
AI 자동협업 기술은 전장에서 상황 분석·대응을 다수의 인공지능 모델이 협력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기술이다.
무인 체계에 탑재된 AI 간 일종의 ‘집단지성’을 구현하는 개념이다.
회사는 AI 자동협업 기술개발을 통해 급변하는 전장 환경에서 즉각 대응능력과 작전 효율성을 높여 종합적 임무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로 했다.
아울러 개발 과정에서 지능형 지휘통제 체계를 위한 지능형 상황인지, 에이전틱 AI(Agentic AI, 목표 달성을 위해 스스로 의사결정을 내리고 조치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원천기술을 확보키로 했다.
실증까지 마친 AI 자동협업 기술은 국방 AI 인프라로 구현된다. 또 AI 자동협업 솔루션을 필요하는 민간기업과도 협업할 예정이다. 신재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