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국내 민간 기후 연구단체가 새 지도부를 출범시켰다.
기후 싱크탱크 '녹색전환연구소'는 14일 김병권 연구위원을 신임 소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녹색전환연구소 이사회 회의를 통해 결정됐으며 김 소장은 15일부터 공식 임기를 시작한다.
김 소장은 인공지능(AI), 생태한계, 기후경제 등 녹색전환 전략에 높은 관심을 가진 전문가다. 약 20년에 걸쳐 민간 싱크탱크 등 여러 기관에서 사회경제적 개혁 정책과 생태경제학적 해법을 모색해왔다.
2006년에 사단법인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부원장을 맡아 노동과 금융 분야 개혁정책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서울시 혁신센터장과 협치자문관을 맡아 사회 전환을 위한 정책 실험과 실천에 나섰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정의당 부설 정의정책연구소장을 역임하며 당내 기후정책과 디지털경제 정책 설계를 주도했다. 2022년에는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취임해 일해왔다.
김 소장은 "기후정책 최일선을 개척해온 이유진 전 소장이 새 정부 대통령실 기후환경에너지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연구소 리더십의 변화의 계기가 마련됐다"며 "녹색전환연구소의 신임 리더로서 연구원들의 연구 역량과 활동 의지를 한 단계 더 높여 미래로 도약할 모멘텀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녹색전환연구소는 김 소장 선임에 더해 배보람 지역전환팀 팀장과 오용석 기후시민팀 팀장을 공동 부소장으로 승진 임명했다. 공동 부소장 체제로 전환해 조직 내부 리더십 기반을 다지고 연구 역량을 더욱 탄탄하게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김 소장은 "지역사회와 중소기업 등 국민 삶의 현장을 녹색전환연구소의 향후 연구와 더욱 밀착시킬 것"이라며 "시민과의 다면적인 소통을 통해 기후정책과 에너지전환 정책을 연구해 온 연구소의 내실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녹색전환연구소는 2013년에 설립된 민간 기후정책 싱크탱크다. 기후경제, 정의로운 전환, 녹색일자리 등 다양한 영역의 연구를 수행하고 관련 보고서와 정책 제안서를 다수 발간했다.
또 전국 226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역 전환 정책을 확산하고 국회 및 지방의회와 함께 정책 토론회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손영호 기자
기후 싱크탱크 '녹색전환연구소'는 14일 김병권 연구위원을 신임 소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 김병권 녹색전환연구소 소장. <녹색전환연구소>
이번 인사는 녹색전환연구소 이사회 회의를 통해 결정됐으며 김 소장은 15일부터 공식 임기를 시작한다.
김 소장은 인공지능(AI), 생태한계, 기후경제 등 녹색전환 전략에 높은 관심을 가진 전문가다. 약 20년에 걸쳐 민간 싱크탱크 등 여러 기관에서 사회경제적 개혁 정책과 생태경제학적 해법을 모색해왔다.
2006년에 사단법인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 부원장을 맡아 노동과 금융 분야 개혁정책을 연구했다. 2016년부터는 서울시 혁신센터장과 협치자문관을 맡아 사회 전환을 위한 정책 실험과 실천에 나섰다.
2019년부터 2022년까지는 정의당 부설 정의정책연구소장을 역임하며 당내 기후정책과 디지털경제 정책 설계를 주도했다. 2022년에는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취임해 일해왔다.
김 소장은 "기후정책 최일선을 개척해온 이유진 전 소장이 새 정부 대통령실 기후환경에너지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연구소 리더십의 변화의 계기가 마련됐다"며 "녹색전환연구소의 신임 리더로서 연구원들의 연구 역량과 활동 의지를 한 단계 더 높여 미래로 도약할 모멘텀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녹색전환연구소는 김 소장 선임에 더해 배보람 지역전환팀 팀장과 오용석 기후시민팀 팀장을 공동 부소장으로 승진 임명했다. 공동 부소장 체제로 전환해 조직 내부 리더십 기반을 다지고 연구 역량을 더욱 탄탄하게 구축할 계획을 세웠다.
김 소장은 "지역사회와 중소기업 등 국민 삶의 현장을 녹색전환연구소의 향후 연구와 더욱 밀착시킬 것"이라며 "시민과의 다면적인 소통을 통해 기후정책과 에너지전환 정책을 연구해 온 연구소의 내실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녹색전환연구소는 2013년에 설립된 민간 기후정책 싱크탱크다. 기후경제, 정의로운 전환, 녹색일자리 등 다양한 영역의 연구를 수행하고 관련 보고서와 정책 제안서를 다수 발간했다.
또 전국 226개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지역 전환 정책을 확산하고 국회 및 지방의회와 함께 정책 토론회도 다양하게 추진하고 있다. 손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