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코리안리 목표주가가 높아졌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14일 보고서에서 코리안리 목표주가를 기존 1만1천 원에서 1만3천 원으로 상향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설 연구원은 “업황이 여전히 양호하며 제도 불확실성도 낮다”며 “실적 추정치 조정 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상향한다”고 말했다.
보험사 새 회계기준 도입에 따라 재보험사의 제도 불확실성이 일반적으로 높아지는 것과 달리, 코리안리의 경우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제도 불확실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요구자본 관리를 위해 코리안리는 공동재보험 등 신규 성장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매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글로벌적으로 재보험 시장은 하락기에 접어들고 있지만 코리안리는 선진 보험시장 및 특종보험, 공동재보험 수재 등 신규 시장 확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것으로도 예상된다.
설 연구원은 “향후 S&P 신용등급 상향 등까지 이뤄질 경우 기존에 진입하기 어렵던 시장 진출에 있어서도 제약이 해소될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설 연구원은 코리안리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940억 원의 순이익을 낼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2분기보다 2.2% 늘어나는 것이다. 김태영 기자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14일 보고서에서 코리안리 목표주가를 기존 1만1천 원에서 1만3천 원으로 상향조정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 SK증권이 14일 코리안리 목표주가를 높여 잡았다.
설 연구원은 “업황이 여전히 양호하며 제도 불확실성도 낮다”며 “실적 추정치 조정 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상향한다”고 말했다.
보험사 새 회계기준 도입에 따라 재보험사의 제도 불확실성이 일반적으로 높아지는 것과 달리, 코리안리의 경우 오랜 업력을 바탕으로 제도 불확실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요구자본 관리를 위해 코리안리는 공동재보험 등 신규 성장 수요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매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글로벌적으로 재보험 시장은 하락기에 접어들고 있지만 코리안리는 선진 보험시장 및 특종보험, 공동재보험 수재 등 신규 시장 확보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진할 것으로도 예상된다.
설 연구원은 “향후 S&P 신용등급 상향 등까지 이뤄질 경우 기존에 진입하기 어렵던 시장 진출에 있어서도 제약이 해소될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했다.
설 연구원은 코리안리가 올해 2분기 연결기준 940억 원의 순이익을 낼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2분기보다 2.2% 늘어나는 것이다. 김태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