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한국을 방문하는 무슬림 관광객의 편의증진을 위한 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 무슬림 친화적인 인프라가 크게 부족한데다 여론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을지 미지수다.
|
|
|
▲ 정창수 한국관광공사 사장. |
21일 관광업계에 따르면 한국관광공사는 한국을 방문하는 무슬림 관광객을 위해 ‘무슬림 친화레스토랑 분류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 분류제는 식당을 할랄인증, 무슬림 자가인증, 무슬림 프렌들리, 포크 프리 등으로 나눈다. 무슬림 관광객들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할랄은 ‘신이 허용한 것’이란 뜻으로 할랄식품은 이슬람율법에 따라 엄정하게 처리된 식품을 말한다.
이 분류제도가 무슬림 관광객들의 외식환경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우리나라에 할랄인증식당 자체가 적고 이 개념의 이해도 미미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할랄인증식당은 올해 6월 기준으로 13곳에 불과하다. 지난해 기준으로 무슬림 친화적인 식당은 144곳이지만 무슬림 관광객들은 여전히 할랄인증식당을 주로 찾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관광공사는 한국이슬람교중앙회 인증여부, 할랄메뉴 유무, 알코올 미판매 등의 5개 항목으로 식당을 분류하고 있다. 할랄인증식당은 5개를 모두 충족해야 하지만 무슬림 친화적인 식당은 이 가운데 2개만 충족하면 된다.
국내 한 할랄식품 관계자에 따르면 “무슬림 관광객들은 할랄인증이 없는 식당을 거의 찾지 않는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드물게 할랄음식을 연구한 이희열 세종사이버대 교수는 “할랄인증 마크가 무엇인지도 모르는 외식업 관계자가 대부분”이라며 “이는 차세대 관광산업의 먹거리에 대한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할랄 음식의 인식조차 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각종 시민단체와 종교계의 반발도 무시할 수 없는 요소다.
정부는 그동안 할랄음식 외에도 여러 무슬림 친화적인 정책을 추진했으나 시민단체와 종교계의 반대로 성과를 내지 못했다. 지난해 전북 익산시에 설립 중인 국가식품클러스터 단지 일부를 할랄식품구역으로 조성하려다 취소하기도 했다.
계획이 무산된 표면적인 이유는 입주를 희망하는 업체의 수요가 적다는 것이었지만 일각에서 기독교계와 시민단체의 거센 반발에 따른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당시 전북의 기독교 단체는 “정부가 할랄식품 교두보 역할을 자처하고 나서 무슬림들의 포교전략에 일조하고 있는 것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며 거세게 반발했다.
대구시도 2월 무슬림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해 한국형 할랄 6차산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지만 시민들의 반대로 사업철회를 결정했다. [비즈니스포스트 윤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