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금융감독원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은행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조정 등을 검토한다.
박충현 금감원 부원장보는 27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가계부채 관리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올해 1~8월 기준 4대 은행의 가계부채 증가액이 이미 각 은행 연간 경영계획과 비교해 150.3%를 보이고 있다”며 “남은 4분기 은행권이 신규 대출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가계부채 관련 연간 목표치를 맞추지 못하면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낮추도록 지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은행들의 대출 한도를 줄여 가계부채 증가를 막겠다는 것이다.
DSR은 1년 총소득에서 빚을 갚는 데 쓰는 돈의 비율이다. 현재는 DSR이 4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박 부원장보는 “현재 은행권 전체 평균 DSR은 20~30% 수준인데 연간 경영계획보다 가계대출이 과도하게 증가한 은행에는 평균 DSR을 낮추도록 할 것”이라며 “은행별로 2025년 관리계획을 세울 때 평균 DSR을 차등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밖에 보험, 중소금융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실수요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혜린 기자
박충현 금감원 부원장보는 27일 서울 여의도 본원에서 가계부채 관리 대응 관련 브리핑을 열고 “올해 1~8월 기준 4대 은행의 가계부채 증가액이 이미 각 은행 연간 경영계획과 비교해 150.3%를 보이고 있다”며 “남은 4분기 은행권이 신규 대출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금융감독원이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은행권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조정 등 관리지도에 나선다.
금감원은 은행들이 가계부채 관련 연간 목표치를 맞추지 못하면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낮추도록 지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은행들의 대출 한도를 줄여 가계부채 증가를 막겠다는 것이다.
DSR은 1년 총소득에서 빚을 갚는 데 쓰는 돈의 비율이다. 현재는 DSR이 40%를 넘지 못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박 부원장보는 “현재 은행권 전체 평균 DSR은 20~30% 수준인데 연간 경영계획보다 가계대출이 과도하게 증가한 은행에는 평균 DSR을 낮추도록 할 것”이라며 “은행별로 2025년 관리계획을 세울 때 평균 DSR을 차등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밖에 보험, 중소금융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지 않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실수요자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