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시노트7 리콜을 계기로 기업의 리콜비용을 보장하는 ‘리콜보험’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송윤아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11일 발간한 ‘생산물 리콜보험의 활성화 필요’ 보고서에서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리콜에 천문학적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를 계기로 리콜과 관련된 보험이 활성화돼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을 전면 리콜하기로 한 가운데 11일 서울 시내 삼성전자 서비스센터 체험매장에 전시된 갤럭시노트7에 전원이 꺼져 있다. <뉴시스> |
다른 다국적기업들도 최근 리콜에 대규모 비용을 쓰고 있다. 폴크스바겐은 배기가스 배출수치를 조작한 것과 관련해 리콜 비용으로 71조 원을 썼다. 도요타와 GM도 3조 원씩 리콜 관련 손실을 입었다.
송 연구위원은 “최근 소비자의 안전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제품의 자발적·강제적 리콜이 증가하고 있다"며 "하지만 2003년에 국내에 도입된 리콜보험이 여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리콜보험은 제품불량을 고지하고 회수해 수리하는 비용을 담보하기 위한 보험상품이다.
한국 기업들은 불량제품으로 발생한 사고의 배상비용만 보장하는 생산물배상책임보험에 많이 가입한 반면 리콜보험은 가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송 연구위원은 “국내 기업은 그동안 리콜에 소극적인 경향을 보여왔다"며 " 이번 삼성전자의 사례를 계기로 리콜 문화와 손실 위험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돼 리콜보험의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도 커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즈니스포스트 이규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