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13주 연속 상승했다.
17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4일 기준 8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9%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0.09%)와 같았다.
부동산원은 “여름휴가철 및 태풍 영향으로 거래량은 많지 않았으나 지역 내 주요단지 위주로 매수문의가 꾸준했고 가격회복 기대심리로 매도호가가 상승해 일부 상승거래가 체결되는 등 오름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7% 올랐다.
성동구(0.17%)는 옥수·금호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마포구(0.17%)는 아현·공덕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용산구(0.15%)는 서빙고·이촌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15%)는 이문·답십리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11% 상승했다.
송파구(0.31%)는 잠실·가락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양천구(0.13%)는 목·신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동구(0.12%)는 고덕·명일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09%)는 여의도·신길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8월 둘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8%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09%)보다 0.01%포인트 낮아졌다.
8월 둘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8%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중구(0.27%)는 운서·중산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연수구(0.14%)는 송도·연수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반면 미추홀구(-0.07%)는 신규 입주 예정물량 영향으로 용현·도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계양구(-0.03%)는 효성·계산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8월 둘째 주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8%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09%)와 비교해 0.01% 작아졌다.
과천시(0.40%)는 정주여건 양호한 부림·중앙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성남 분당구(0.35%)는 서현·이매·야탑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성남 수정구(0.33%)는 신흥·태평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화성시(0.32%)는 동탄신도시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동두천시(-0.27%)는 생연·지행·송내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08%)는 입주 예정물량 영향으로 신곡·용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양주시(-0.06%)는 덕정·덕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8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4% 올라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세종(0.10%), 경북(0.06%) 등에서 아파트값이 올랐고 경남(0.00%)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전남(-0.05%), 제주(-0.04%), 부산(-0.04%), 전북(-0.03%)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와 견줘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94곳으로 10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10곳, 하락지역은 72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각각 6곳, 4곳 줄었다. 류수재 기자
17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14일 기준 8월 둘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09%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0.09%)와 같았다.

▲ 서울 아파트값이 13주 연속 상승했다. 사진은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부동산원은 “여름휴가철 및 태풍 영향으로 거래량은 많지 않았으나 지역 내 주요단지 위주로 매수문의가 꾸준했고 가격회복 기대심리로 매도호가가 상승해 일부 상승거래가 체결되는 등 오름세가 지속됐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7% 올랐다.
성동구(0.17%)는 옥수·금호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마포구(0.17%)는 아현·공덕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용산구(0.15%)는 서빙고·이촌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동대문구(0.15%)는 이문·답십리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11% 상승했다.
송파구(0.31%)는 잠실·가락동 대단지 아파트 위주로, 양천구(0.13%)는 목·신정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강동구(0.12%)는 고덕·명일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영등포구(0.09%)는 여의도·신길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8월 둘째 주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8%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09%)보다 0.01%포인트 낮아졌다.
8월 둘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견줘 0.08% 올랐다. 상승폭은 지난주와 같았다.
중구(0.27%)는 운서·중산동 주요 아파트 단지 위주로, 연수구(0.14%)는 송도·연수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반면 미추홀구(-0.07%)는 신규 입주 예정물량 영향으로 용현·도화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계양구(-0.03%)는 효성·계산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8월 둘째 주 경기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08% 상승했다. 상승폭은 지난주(0.09%)와 비교해 0.01% 작아졌다.
과천시(0.40%)는 정주여건 양호한 부림·중앙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성남 분당구(0.35%)는 서현·이매·야탑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올랐다.
성남 수정구(0.33%)는 신흥·태평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화성시(0.32%)는 동탄신도시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상승했다.
동두천시(-0.27%)는 생연·지행·송내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08%)는 입주 예정물량 영향으로 신곡·용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빠졌다. 양주시(-0.06%)는 덕정·덕계동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하락했다.
8월 둘째 주 전국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비교해 0.04% 올라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세종(0.10%), 경북(0.06%) 등에서 아파트값이 올랐고 경남(0.00%)은 보합세를 나타냈다. 전남(-0.05%), 제주(-0.04%), 부산(-0.04%), 전북(-0.03%) 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와 견줘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94곳으로 10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10곳, 하락지역은 72곳으로 지난주와 비교해 각각 6곳, 4곳 줄었다. 류수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