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포스트] 서울 아파트값이 44주 연속 하락했다.
30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27일 기준 4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13% 내렸다. 하락 폭은 지난주(-0.15%)와 비교해 0.02%포인트 줄었다.
한국부동산원은 “금융시장 불안 및 금리 인상 우려와 급매물 소진으로 매물가격은 완만한 상승세를 그리고 있지만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의 거래 희망가격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여전히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아파트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15% 빠졌다.
강북구(-0.30%)는 번·우이동 위주로, 광진구(-0.28%)는 구의·자양동 구축이나 중저가 위주로 집값이 떨어졌다.
도봉구(-0.27%)는 도봉·방학·창동 대단지 위주로 매물이 적체되며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성동구(-0.19%)는 마장·금호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10% 하락했다.
강서구(-0.30%)는 가양·방화동 중저가 위주로, 관악구(-0.27%)는 봉천·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금천구(-0.20%)는 시흥·독산동 위주로 매물적체 현상이 나타나며 하락세가 지속됐다.
다만 강동구(0.01%)는 전반적으론 혼조세를 보였으나 상일·고덕동 대단지에서 상승세가 나타나며 집값이 올랐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내림세를 보였다.
3월 넷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24% 떨어졌다. 지난주(-0.27%)보다 하락 폭은 0.03%포인트 줄었다.
오산시(-0.58%)는 지곶·청호·갈곶동 대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54%)는 고산·장암·낙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집값이 내렸다.
고양 일산서구(-0.41%)는 가좌·일산·대화동에서, 남양주시(-0.38%)는 호평동·와부읍·화도읍에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다만 용인 처인구(0.43%)는 개발예정 발표에 따른 기대심리로 아파트값이 상승세로 전환했다. 용인 처인구 남사읍에는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예정됐다.
3월 넷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0.18% 내렸다. 하락폭이 지난주(-0.16%)보다 0.02%포인트 늘었다.
지속적인 가격 하락 및 매수심리 위축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부평구(-0.32%)는 구산·일신·산곡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22%)는 도림·간석·남촌동 위주로 집값이 떨어졌다.
서구(-0.20%)는 검암·심곡·경서동에서, 계양구(-0.18%)는 오류·귤현·이화동에서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보였다.
시도별로는 대구(-0.30%), 울산(-0.29%), 부산(-0.26%), 경기(-0.24%), 광주(-0.23%), 대전(-0.21%), 충남(-0.20%), 인천(-0.18%), 전북(-0.17%)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와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5곳으로 전주보다 3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6곳에서 3곳 줄었고 하락지역은 168곳으로 지난주와 같았다. 김홍준 기자
30일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보면 27일 기준 4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보다 0.13% 내렸다. 하락 폭은 지난주(-0.15%)와 비교해 0.02%포인트 줄었다.

▲ 서울 아파트값이 44주 연속 하락했다. 사진은 서울 지역 아파트.
한국부동산원은 “금융시장 불안 및 금리 인상 우려와 급매물 소진으로 매물가격은 완만한 상승세를 그리고 있지만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의 거래 희망가격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여전히 매수심리가 위축되면서 아파트값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을 구역별로 나눠보면 강북 14개 구 아파트값은 지난주보다 0.15% 빠졌다.
강북구(-0.30%)는 번·우이동 위주로, 광진구(-0.28%)는 구의·자양동 구축이나 중저가 위주로 집값이 떨어졌다.
도봉구(-0.27%)는 도봉·방학·창동 대단지 위주로 매물이 적체되며 아파트값이 하락했다. 성동구(-0.19%)는 마장·금호동 구축 아파트 단지 위주로 값이 내렸다.
강남 11개 구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10% 하락했다.
강서구(-0.30%)는 가양·방화동 중저가 위주로, 관악구(-0.27%)는 봉천·신림동 대단지 위주로 아파트값이 떨어졌다.
금천구(-0.20%)는 시흥·독산동 위주로 매물적체 현상이 나타나며 하락세가 지속됐다.
다만 강동구(0.01%)는 전반적으론 혼조세를 보였으나 상일·고덕동 대단지에서 상승세가 나타나며 집값이 올랐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내림세를 보였다.
3월 넷째 주 경기도 아파트값은 0.24% 떨어졌다. 지난주(-0.27%)보다 하락 폭은 0.03%포인트 줄었다.
오산시(-0.58%)는 지곶·청호·갈곶동 대단지 위주로, 의정부시(-0.54%)는 고산·장암·낙양동 주요단지 위주로 집값이 내렸다.
고양 일산서구(-0.41%)는 가좌·일산·대화동에서, 남양주시(-0.38%)는 호평동·와부읍·화도읍에서 하락세가 지속됐다.
다만 용인 처인구(0.43%)는 개발예정 발표에 따른 기대심리로 아파트값이 상승세로 전환했다. 용인 처인구 남사읍에는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예정됐다.
3월 넷째 주 인천 아파트값은 0.18% 내렸다. 하락폭이 지난주(-0.16%)보다 0.02%포인트 늘었다.
지속적인 가격 하락 및 매수심리 위축 영향으로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부평구(-0.32%)는 구산·일신·산곡동 구축 위주로, 남동구(-0.22%)는 도림·간석·남촌동 위주로 집값이 떨어졌다.
서구(-0.20%)는 검암·심곡·경서동에서, 계양구(-0.18%)는 오류·귤현·이화동에서 아파트값이 하락세를 보였다.
시도별로는 대구(-0.30%), 울산(-0.29%), 부산(-0.26%), 경기(-0.24%), 광주(-0.23%), 대전(-0.21%), 충남(-0.20%), 인천(-0.18%), 전북(-0.17%)등에서 아파트값이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지난주와 비교해 아파트값이 오른 곳은 5곳으로 전주보다 3곳 늘었다. 보합지역은 6곳에서 3곳 줄었고 하락지역은 168곳으로 지난주와 같았다. 김홍준 기자